2026년 환경부 예산안이 15조 9160억 원으로 편성되었다. 이는 올해 대비 7.5% 증액된 규모로, ‘회복과 성장을 위한 2026년 예산’이라는 기조 아래 국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환경 서비스 강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번 예산안은 국민이 누리는 환경 서비스 개선과 사회 안전망 확충, 그리고 사람과 자연, 지역이 공존하는 사회 구현이라는 세 가지 큰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국민 혜택 확대를 위해 환경부는 탈탄소 정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한다. 전기차 전환 지원금은 신규로 도입되며, 300만 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이는 기존 지원금 대비 100만 원이 증액된 것으로, 국민들의 전기차 전환을 더욱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탄소중립 포인트 사업 대상자는 올해 133만 명에서 151만 명으로 확대되며, 이에 따라 예산도 160억 원에서 181억 원으로 증액된다. 1인당 평균 지급액은 1.2만 원으로 책정되었다. 난방 전기화 지원 사업도 신규로 추진되어 1607가구에 각각 560만 원이 지원될 예정이다. 이러한 정책들은 기후 변화 대응뿐만 아니라 가계의 에너지 비용 부담 완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국민 체감 사회 안전망 확충에도 예산이 투입된다. 특히 침수 위험이 있는 모든 지역의 맨홀에는 추락 방지 시설이 설치된다. 올해 20.7만 개소가 신규로 설치되며, 이에 1104억 원의 예산이 배정되었다. 또한, 전국 22개 국립공원에는 IoT 기반의 산불 조기 감지 시스템이 구축되어 산불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국가하천 전 구간에는 지능형 CCTV가 설치되어 집중호우 시 사람과 차량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시스템이 운영될 예정이다. 이러한 사업들은 자연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함께 살아가는 사람, 자연, 지역이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노력도 이어진다. 가습기 살균제 피해 구제를 위해 정부 출연금이 100억 원 지원된다. 또한, 곤충 대발생에 대응하기 위한 체계가 마련되며, 원인 규명과 함께 친환경적인 관리 방안이 모색될 예정이다. 더 나아가 국민들이 자연 속에서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국립공원 내 숲속 결혼식 장소가 북한산, 계룡산, 무등산 등 13개소에 새롭게 조성되고 운영된다. 이러한 사업들은 환경 보호와 더불어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