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의 '민생 회복 소비쿠폰'이 풀리고 한 달간 소상공인 매출이 1년 전보다 약 6.44%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26일 한국신용데이터(KCD)에 따르면 민생회복 소비쿠폰 배포가 시작되고 4주(7월 21일∼8월 17일) 동안 전국 소상공인 평균 카드 매출액은 작년 동기 대비 6.44% 늘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중부시장에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용 가능 매장 안내문이 부착되어 있다.
정부가 민생회복 소비쿠폰의 사용처를 확대하며 지역 공동체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는 연 매출액 30억 원 이하의 소상공인 매장으로 사용처가 제한되었으나, 오는 22일부터 시작되는 2차 소비쿠폰 지급부터는 연 매출액 30억 원을 초과하는 지역소비자생활협동조합(이하 지역생협) 매장에서도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는 생협의 공익적 성격과 지역 주민들의 소비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결정으로, 지난 행정안전위원회 당정협의에서 심도 있게 논의된 바 있다.
이번 조치는 소비쿠폰 사용처의 제한으로 인해 발생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지역생협은 ‘소비자생활협동조합법’에 따라 설립되어 친환경 먹거리 판매 등을 통해 조합원의 소비생활 및 국민 생활문화 향상에 이바지하는 한살림, 두레, 아이쿱 등과 같은 협동조합이다. 이러한 생협은 공익적인 활동과 더불어 지역 공동체에 대한 환원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매출액 제한 규정으로 인해 소비쿠폰 사용에 제약을 받아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행정안전부는 연 매출액과 무관하게 지역생협 매장에서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처를 확대했다. 더불어 ‘지역사랑상품권 운영 지침’을 개정하여 지역생협이 연 매출액 30억 원을 초과하더라도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으로 등록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지역 주민들은 더욱 다양한 곳에서 소비쿠폰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번 조치가 지역 주민들의 생협 이용 편의를 증진시키고, 지역 공동체 강화 및 친환경 먹거리 판로 지원 등 생협의 공익적 기능을 확대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소비쿠폰이 지역 경제 및 골목 상권 회복과 공익성 실현을 위한 ‘가치 소비’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제도를 지속적으로 운영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한 지역생협 매장 목록은 22일부터 행정안전부 누리집(www.mois.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