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가 새 학기를 맞아 24일부터 전국 6339개 초등학교 주변 위해 요소를 점검·단속한다. 24일 서울의 한 초등학교에서 어린이들이 등교하고 있다. 2025.2.24/뉴스1
새 학년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전국 초등학교 주변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들이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무분별한 불법 주정차, 과속하는 차량들, 통학로를 막아서는 공사장의 위험한 적치물, 그리고 어린이들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식품 안전 문제까지, 학교 주변의 이러한 위해 요소들은 매년 끊이지 않고 발생하며 어린이들의 안전한 통학 환경 조성에 심각한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신호기가 없는 횡단보도에서의 교통 안전 문제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과 같으며, 최근 늘어나고 있는 무인 판매점이나 신·변종 유해업소 역시 어린이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새로운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오는 26일까지 전국 6300여 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대대적인 합동점검을 실시하며 안전한 통학 환경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 3일, 관계 기관과 함께 전북 궁동초등학교를 방문하여 학교 주변 안전 관리 실태를 철저히 점검했다. 점검 내용은 등하굣길 보도 확보 및 교통안전시설물 설치 현황을 꼼꼼히 살피는 것부터 시작하여, 학교 주변 어린이 식품 판매점의 기호식품 소비기한 점검, 무인판매점의 판매 제품 종류 및 KC 인증 현황 확인까지 아우르고 있다. 또한, 어린이 보호구역 내 불법 주정차, 과속, 신호 위반 등 교통법규 위반 차량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통학로 주변 공사장의 불법 적치물을 점검하며 노후된 안전시설을 보수·정비한다. 신호 없는 횡단보도에서는 차량보다 어린이가 먼저 건널 수 있도록 안내하고, 사고 다발 지역이나 단속 사각지대에는 특별히 하교 시간대에 현장 단속 인력을 집중 배치하여 사고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식품 안전 측면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학교 급식 시설과 주변 업소를 대상으로 전반적인 식품 위생 관리 상태를 점검하며, 방학 동안 사용하지 않은 급식 시설·기구 관리 상태 및 식재료 소비기한 준수 여부를 집중 확인한다. 학교 주변 어린이 기호식품 판매업소의 기본 위생 수칙 준수 여부와 정서 저해 식품 판매 지도·점검 또한 강화되며, 최근 급증하는 무인 판매업소에 대한 점검 역시 확대된다. 더불어, 민간 단체인 ‘청소년유해환경감시단’과 협력하여 교육환경보호구역 내 청소년 유해 요소를 단속하고, 학교 주변 유해업소에 청소년 출입·고용 금지 표시 부착을 안내하며, 전자담배 청소년 판매 금지 부착 유도와 마약 예방 캠페인도 함께 실시한다. 룸카페와 같은 신·변종 유해업소 단속도 확대하며, 문구점, 편의점 등 어린이들이 자주 이용하는 사업장에서 안전 인증을 받지 않은 불법 어린이 제품 판매 여부를 소비자 단체와 함께 점검한다. 이러한 점검 결과, 적발이 많이 발생하는 지역에 대해서는 오는 10월부터 한 달간 추가 점검을 실시하여 불법 어린이 제품 판매 근절에 나선다. 통학로 주변 노후·불량 간판 정비 및 교통안전을 위협하는 유동 광고물 즉시 수거 등 쾌적하고 안전한 통학 환경 조성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전진석 교육자치안전정책관은 “안전한 통학 환경 조성을 위해 학교 주변의 위해 요소를 세심히 살피고 선제적으로 개선해 나갈 것”이라며, 국민들의 지속적인 관심과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