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가 2026년 예산으로 전년 대비 157억 원이 증액된 2,926억 원을 편성하여 국회에 제출했다. 이는 원자력 안전 확보와 방사선 재해로부터 국민 및 환경 보호라는 원안위의 핵심 역할을 더욱 충실히 이행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번 예산 증액은 원전 안전성 강화, 대규모 방사능 재난 대비 기반 완비, 국민과의 소통 체계 강화, 원자력 안전 연구개발 투자 확대, 그리고 해외 직구 물품 등에 대한 방사능 감시망 확충 등 다방면에 걸쳐 이루어졌다.
원안위는 우선 가동 및 건설 원전의 안전성을 철저히 확인하고 점검하기 위해 630억 원을 편성했다. 이는 가동 원전 26기, 건설 원전 4기, 영구정지 원전 2기(해체 승인 1기)를 대상으로 하며, 특히 원전 정비 기간에만 실시하던 검사를 가동 중에도 상시적으로 실시하기 위한 예산 10억 원이 신규 반영되었다. 현재 새울 2호기에 우선 적용 중인 상시 검사는 2027년부터 모든 원전에 확대 적용될 계획으로, 원전 안전 관리의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한다.
대규모 방사능 재난 발생 시 신속한 현장 지휘와 주민 보호를 위한 방재 기반 구축에도 2026년 19억 원이 편성되었다. 2022년 울주 광역지휘센터, 2025년 한울 광역지휘센터 준공에 이어, 2026년에는 한빛권 광역지휘센터 건설이 완료된다. 광역지휘센터 구축은 대규모 사고 발생 시 현장 지휘의 연속성을 보장하고 주변 주민 소개를 우선적으로 이행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며, 이를 통해 후쿠시마 원전 사고와 같은 대규모 원전 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전국토 방사능 방재 환경 기반 구축이라는 목표 달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원자력 시설 주변 지역 주민들에게 원자력·방사선 안전 정보를 더욱 투명하게 제공하기 위한 ‘원자력안전 정보공유센터’ 구축 및 운영에 20억 원이 신규 편성되었다. 2022년 「원자력안전 정보 공개 및 소통에 관한 법률」 제정·시행 이후 온라인 정보공개센터 고도화에 이어, 2026년 오프라인 정보공유센터 설치로 소통 체계가 완비될 예정이다. 특히 온라인 정보 접근에 어려움을 겪는 고령층 주민들에게 정보 접근성을 강화하고, 지역별 상황에 맞는 과학적 설명과 대면 소통 강화를 통해 국민 불안 해소 및 신뢰 제고에 집중할 계획이다.
원자력 안전 규제 기술 역량 강화 및 현안 대응 규제 기술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R&D) 사업에도 2025년 대비 174억 원이 늘어난 1,191억 원이 지원된다.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i-SMR)의 안전한 개발을 위한 표준설계인가 심사 과정에서의 기술 현안 해결 및 규제 검증 기술 확보에 130억 원이 투입되며,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등에 따른 국내 환경 영향 모니터링을 위한 방사능 분석 기반 확충도 추진된다.
해외 직구 물품 등에 대한 방사능 감시망 확충을 위해 공항·항만에 감시기를 설치·운영하는 데 34억 4,900만 원이 편성되었다. 이를 통해 2025년 94.46%였던 감시율이 2026년 94.49%로 소폭 증가하며, 특히 전자상거래 해외 직구 물품에 대한 감시율을 80% 수준으로 높이기 위해 감시기 5대를 확충할 예정이다.
원안위 최원호 위원장은 “2026년도 원안위 예산안은 국민 안전을 증진하기 위한 사업들로 확대 편성했다”며, “2026년 예산이 본격적으로 집행되면 방사선으로부터 국민을 더욱 체계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2026년도 원안위 예산안은 국회의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