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간 평화 공존 기반을 다지고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한 통일부의 2026년 예산안이 발표됐다. 특히, 핵심 사업이라 할 수 있는 남북협력기금(사업비)이 1조 원 시대를 다시 열며 회복과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이는 지난 몇 년간의 예산 감소 추세를 뒤집고, 대북 및 통일 정책 추진에 대한 정부의 의지를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발표된 2026년 예산안에 따르면, 통일부는 남북 간 교류·협력 활성화를 위해 남북협력기금으로 총 1조 25억 원을 편성했다. 이는 2025년 예산 8,008억 원 대비 2,017억 원(25.2%) 증가한 수치다. 이러한 증액은 2021년 1조 2,431억 원, 2022년 1조 2,690억 원을 기록했던 남북협력기금 사업비가 2023년 1조 2,101억 원, 2024년 8,722억 원, 2025년 7,981억 원으로 감소했던 흐름을 반전시키려는 노력으로 풀이된다. 이번 예산안에서 남북협력기금의 주요 집행 내용은 구호지원 등 인도적 문제 해결에 6,810억 원(68%), 남북경제협력에 3,037억 원(30.4%), 남북사회문화교류에 104억 원(1.0%)이 배분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인도적 지원과 경제협력을 중심으로 남북 관계를 재정립하겠다는 정부의 구상이 엿보인다.
더불어, 남북 간 대화를 재개하고 대북·통일 정책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확산하기 위한 일반회계 예산도 증액 편성되었다. 2026년 일반회계는 2,353억 원으로, 2025년 2,289억 원 대비 64억 원(2.8%) 늘어났다. 세부적으로는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에 807억 원(47.5%), 북한정세분석에 264억 원(15.5%), 통일교육에 160억 원(9.4%)이 배정되는 등 북한이탈주민 지원과 통일 관련 정보력 강화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이산가족 및 북한인권 등 인도적 문제 해결을 위한 예산도 136억 원(8.0%) 책정되었다.
또한, 대북·통일 정책 추진을 위한 사회적 거버넌스 구축 및 평화공존·통일담론 확산을 지원하는 예산은 2025년 136억 원에서 2026년 153억 원으로 증액되었다. 이는 세대·계층별 다양한 의견 수렴을 위한 사회적 대화 활성화(25억 원)와 민간통일운동 활성화 지원(10.1억 원) 등 민간 부문의 활동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더불어 국민 평화·통일문화 체험(14억 원)과 통일미래 연구기반 구축(4.5억 원)을 위한 신규 예산 편성도 눈에 띈다.
마지막으로, 남북 경제협력 기반 조성을 위한 예산은 2025년 1,110억 원에서 2026년 2,322억 원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특히 경제협력 사업 예산은 606억 원에서 1,789억 원으로 대폭 늘어나, 평화경제와 공동성장의 미래를 위한 구체적인 사업 추진에 힘을 실을 것으로 기대된다. 경제교류 협력보험(37억 원)과 경제교류 협력대출(73억 원) 예산 또한 각각 12억 원, 15억 원씩 증액되었다.
이번 2026년 통일부 예산안은 남북 관계 개선과 평화 공존이라는 정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실질적인 재정적 뒷받침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보여준다. 남북협력기금의 1조 원 시대로의 복귀와 경제협력 기반 조성 예산의 확대는 향후 남북 교류·협력 사업의 탄력적인 추진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예산 투자를 통해 궁극적으로 한반도 평화와 공동 번영의 미래를 앞당길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