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예산이 7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며 최첨단 무기체계로의 전환에 속도를 낸다. 2026년 국방예산 정부안이 전년 대비 8.2% 증가한 66조 2947억 원으로 편성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군사력 건설을 위한 방위력개선비는 전년 대비 13.0% 증가한 20조 1744억 원이 책정되어, 국방력 강화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이번 예산 증액은 급변하는 안보 환경 속에서 우리 군의 실질적인 군사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강화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들을 충족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분석된다. 특히 ‘한국형 3축체계’ 관련 예산이 22.3% 증가한 8조 9049억 원으로 편성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기존 7조 2838억 원에서 대폭 늘어난 규모로, 킬체인 전력(보라매 연구개발 및 최초 양산 등)에 5조 3065억 원, 한국형 미사일 방어 전력(광개토-Ⅲ Batch-Ⅱ 등)에 1조 8134억 원, 대량 응징보복 전력(C-130H 성능개량 등)에 7392억 원, 그리고 감시정찰·지휘통제 기반 전력(항공통제기 2차 등)에 1조 458억 원이 각각 투입될 예정이다. 이러한 투자 증가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유사시 우리 군의 자주적인 억제 및 대응 능력을 한층 강화하려는 목표를 반영한다.
더 나아가, 미래전장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는 AI 기반 유·무인 복합전투체계 구축에도 예산이 집중된다. 폭발물 탐지 및 제거 로봇 등을 포함하는 해당 분야 예산은 77.6%라는 파격적인 증가율을 기록하며 3402억 원 규모로 확대된다. 이는 과거 1915억 원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로, 첨단 기술을 국방 분야에 적극 도입하여 미래 전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또한, K2 전차(국산 파워팩), 울산급 Batch-Ⅲ 등 지상, 해상, 공중 전반에 걸친 핵심 무기체계 확보를 위한 예산 역시 2.7% 증가한 7조 5417억 원이 배정되어, 현존하는 위협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력 유지와 더불어 미래 전장을 대비한 전력 구축의 균형을 맞추고 있다.
이처럼 2026년 국방예산 정부안은 우리 군이 직면한 복합적인 안보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미래전장에서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적 투자를 담고 있다. 방위사업청은 예산이 확정되는 대로 우리 군이 굳건한 군사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강화할 수 있도록 관계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예산 집행에 만전을 기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국가 안보를 더욱 공고히 하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