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래 성장 동력을 견인하고 국민 생활 개선에 기여할 혁신적인 제품들을 대거 발굴하여 공공 부문의 구매를 확대해 나선다. 이는 기술 혁신을 이룬 중소·벤처·혁신 기업들이 시장에 안착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주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조달청은 지난 4일 서울지방조달청에서 공공성과 기술 혁신성을 갖춘 총 67개 혁신제품에 대한 지정서 수여식을 개최했다. 이번에 선정된 혁신제품들은 추천 위원들의 추천, 조달 기업들의 신청, 그리고 공공 수요와의 연계를 위한 인큐베이팅 과정 등 다각적인 심사와 검증 절차를 거쳐 혁신성을 입증받았다.
특히 이번 심사에서는 인공지능(AI) 기술이 융합된 다양한 제품들이 주목받았다. ▲AI 기반 개인정보 탐지·치환 보안 솔루션 ▲CCTV 영상 내 개인정보 비식별화 제품 ▲AI 기반 품질 진단·관리 솔루션 ▲AI를 활용한 민원 서식 작성 서비스 ▲AI 광역 재난 현장 지휘차 ▲사물인터넷(IoT) 기반 지능형 산사태 감지 시스템 등 AI 기술이 적용된 혁신 제품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이 외에도 휴대용 유전자 진단기와 같은 혁신적인 의료 기기들도 눈길을 끌었다.
혁신제품으로 지정되면 여러 혜택이 주어진다. 우선 최대 6년 동안 수의 계약이 가능해지며, 우선 구매 제도 등을 통해 제품 개발 초기 단계부터 공공 시장 판로를 확보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조달청 예산을 활용한 시범 구매 제도는 혁신 제품의 공공 구매를 촉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혁신 제품이 실제 공공 기관에서 사용되며 실증 과정을 거치고, 이를 통해 시장 확대의 마중물이 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한다.
백승보 조달청장은 “혁신 조달은 정부가 적극적으로 위험을 감수하며 혁신 기술을 보유한 중소·벤처·혁신 기업의 판로를 먼저 열어주는 정책”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혁신 제품의 공공 구매 규모를 현재의 1조 원에서 2028년까지 2조 원으로 확대하여 AI, 바이오헬스, 기후 테크 등 미래 산업이 우리나라 경제의 든든한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러한 정책 추진은 기술 혁신을 통한 국가 경쟁력 강화와 국민 생활 편익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