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생활 속 화재 위험이 끊이지 않고 있다. 특히 화재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이 어렵거나 사각지대가 발생하는 장소들이 존재하여,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지속되어 왔다. 최근 소방청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회복과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2026년 정부 예산안으로 총 3296억 원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예산안의 핵심은 ‘생활 속 화재안전망 강화’와 ‘특수 소방장비 확충’에 맞춰져 있다. 먼저, 국민 생활과 밀접한 공간에서의 화재 안전을 강화하기 위한 중·장기적 대책의 일환으로 노후 아파트에 대한 연기감지기 보급이 추진된다. 2026년부터 2028년까지 총 149만 8000세대에 연기감지기가 보급될 예정이며, 이는 화재 발생 시 초기 감지 능력을 대폭 향상시켜 주거 안전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산림과 인접한 마을의 화재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산림인접마을 비상소화장치 설치 사업도 진행된다.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전국 2280곳에 비상소화장치가 설치되면, 초기 화재 확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대형 산불로 번지는 것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더불어,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는 산불, 화학 재난, 그리고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와 같은 복합적인 재난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특수 소방장비 확충에도 예산이 투입된다. 구체적으로 중앙119특수구조대의 장비 확충을 위해 182억 원이 투입되며, 여기에는 중형 소방헬기 1대, 초대형 물탱크차 4대, 고성능 화학차 2대, 그리고 중용량포방사시스템 4개 화학센터 보급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장비 확충은 재난 발생 시 현장에서 더욱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줄 것이다.
이번 소방청의 2026년 예산안 확정은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다양한 화재 및 재난 위험 요소를 사전에 예방하고, 발생 시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노후 시설에 대한 안전 강화와 복합 재난 대응 능력 향상을 통해 국민들은 보다 안전한 일상을 누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