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마약류를 포함한 각종 중독 이슈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국가적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이에 국립정신건강센터는 국가 중독치료의 중심 역할을 더욱 강화하기 위한 첫걸음을 내딛었다. 국립정신건강센터는 지난 9월 5일(금), 오후 1시 서울시 광진구에 위치한 센터 11층 열린강당에서 중독정신과 개소를 기념하는 「중독정신과의 첫걸음」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급증하는 중독 문제의 현황을 공유하고, 국내 전문가들과 함께 중독 치료의 현재를 진단하며 미래 발전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최근 마약류 등 다양한 중독 문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국민들이 늘어나면서,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치료 및 관리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심포지엄은 총 3부로 나누어 진행되었으며, 중독 분야의 국내 최고 권위자들이 참여하여 다각적인 시각에서 중독 문제의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1부에서는 국립정신건강센터 곽영숙 센터장과 국립부곡병원 이태경 원장을 좌장으로, 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강웅구 교수가 ‘중독이란 무엇인가?’라는 주제로 기조강연을 진행했으며, 이어서 국립정신건강센터 박선영 중독정신과장이 ‘중독과 중독 치료의 트렌드 변화’에 대해 발표하며 중독 치료의 최신 동향을 짚었다.
2부에서는 가톨릭대학교 이해국 교수와 중앙대학교 서정적 교수가 좌장을 맡아, 성명제 국립법무병원(중독 및 중독 치료의 뇌 과학), 안유석 서울대병원 교수(중독과 자살), 원희연 국가트라우마센터장(중독과 트라우마), 양찬모 원광대병원 교수(소아청소년의 중독문제) 등이 발표에 나섰다. 이들은 각 분야의 최신 연구 결과와 현장의 주요 이슈, 풍부한 임상 경험을 바탕으로 중독 치료에 대한 전문적이고 효과적인 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마지막 3부에서는 인천참사랑병원 이계성 원장과 서울시 마약센터 조성남 소장을 좌장으로, 윤영환 경기도립정신병원장(권역치료보호기관의 역할), 오홍석 건양대병원 교수(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와의 동행), 박상진 서울준법지원센터장(범죄예방을 위한 동행)이 발표자로 참여했다. 이 세션에서는 지역사회 내 치료 및 보호 기관의 역할과 중독관리통합지원센터, 범죄예방 시스템과의 협력 강화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며 기관 간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번 심포지엄은 중독 치료 분야의 현재 상황을 정확히 진단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구체적인 대응 전략과 발전 방향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국립정신건강센터는 국가 차원의 중독 치료와 연구를 이끌어가는 중추적인 기관으로서의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곽영숙 센터장은 “중독정신과 개소와 심포지엄 개최를 계기로 국립정신건강센터가 국가 중독 치료의 컨트롤타워로서 전문성과 책임감을 가지고 그 역할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며, “중독으로 고통받는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치료와 회복의 길을 제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