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80주년을 맞이한 대한민국에서 일제강점기 동안 이루어진 주요 유적 발굴조사의 의미를 되짚어보는 자리가 마련된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오는 9월 11일 오전 10시, 국립고궁박물관 대강당에서 ‘일제강점기 한국 주요유적 발굴조사’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 행사는 한국 고고학계가 해결해야 할 복합적인 과제, 즉 과거 발굴조사의 성과와 한계를 명확히 인식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주체적 연구 방향과 학문적 발전 경로를 심도 깊게 논의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번 학술대회의 가장 큰 문제의식은 일제강점기라는 특수한 역사적 맥락 속에서 진행되었던 발굴조사들이 우리 고고학 연구에 미친 영향과 그 의미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있다. 당시 조사들은 제국주의적 시각이나 식민지배 논리에 기반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에, 대한민국 고고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과거의 유산을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학술대회는 최병현 숭실대학교 명예교수의 기조강연 ‘일제강점기 한국 유적의 발굴조사와 과제의 극복’을 시작으로, 일제강점기에 이루어진 석기시대, 고구려·낙랑, 백제·마한, 신라·가야 유적에 대한 고고학적 조사 현황과 그 의미를 다각적으로 분석하는 다섯 차례의 주제발표를 진행한다.
더불어, 과거 일제강점기에 조사되었으나 현재 재발굴조사가 진행 중인 고령 지산동 5호분과 부여 왕릉원에 대한 조사 성과 발표는 과거 조사의 한계와 현대적 재해석의 필요성을 구체적으로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일제강점기 조사에 대한 평가, 학계의 대응, 그리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전문가들의 종합토론은 대한민국 고고학이 나아가야 할 독자적이고 주체적인 연구 패러다임을 정립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학술대회는 별도의 등록 절차 없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이는 대한민국 고고학의 과거를 성찰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앞으로도 학계와의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국가유산의 미래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학술적 성과를 국민들과 공유하는 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