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서비스 현장에서 청년 인력의 전문성 부족과 낮은 만족도는 지속적인 문제로 제기되어 왔다. 청년들이 제공하는 사회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이들의 안정적인 활동 지원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역량 강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청년 사회서비스 제공인력의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 교육을 실시하며 이러한 고질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나섰다.
보건복지부는 9월 4일 목요일 오전 10시, 르메르디앙 서울 명동에서 ‘2025년 청년 사회서비스사업단 역량 강화 교육’을 개최했다. 이 교육은 청년이 서비스 제공인력으로 활동하도록 지원하는 청년 사회서비스사업단(이하 ‘청년사업단’)의 참여 인력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청년사업단은 청년층의 사회서비스 시장 유입을 촉진하고, 청년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통해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운영되고 있다. 정부는 매년 공모를 통해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학이나 사회복지법인 등을 청년사업단으로 선정하며, 선정된 기관은 구성 인력의 70% 이상을 청년으로 채용하여 일상돌봄 및 초등돌봄 서비스 등 정부의 다양한 사회서비스 사업에 참여한다. 올해에는 전국 15개 시·도에서 총 27개 사업단이 선정되어 활발하게 운영 중이다.
이번 역량 강화 교육은 사업단에 참여 중인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현장형 기획 실습과 관계 형성을 위한 라포(유대감) 기술 학습 기회를 제공했다. 이를 통해 개별 청년 인력의 전문성을 높이는 동시에, 우수 사례를 공유하며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 사업을 더욱 활성화할 방안을 모색했다. 앞으로도 보건복지부는 청년들이 사회서비스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취·창업 교육과 청년 제공인력 간의 교류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이지은 사회서비스사업과장은 “청년사업단으로 활동하는 청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교육과 체험의 기회를 꾸준히 확대할 것”이라며, “청년사업단 활성화를 통해 지역사회에 더욱 질 높은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나아가 사회서비스 시장 전체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노력은 청년 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만족도를 높여, 결과적으로 사회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사업단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