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â¹Ý Áö´ÉÇü ¼±º°°üÁ¦½Ã½ºÅÛ ½Ã¿¬ (¼¿ï=¿¬ÇÕ´º½º) ±è¼º¹Î ±âÀÚ = 1ÀÏ ¿ÀÀü ¼¿ï °³²±¸ ¿ª»ïÁö±¸´ë °³²µµ½Ã°üÁ¦¼¾ÅÍ¿¡¼ Á÷¿øµéÀÌ AI ±â¹Ý Áö´ÉÇü ¼±º°°üÁ¦½Ã½ºÅÛÀ» ½Ã¿¬Çϰí ÀÖ´Ù. AI ±â¹Ý Áö´ÉÇü ¼±º°°üÁ¦½Ã½ºÅÛÀº 1000´ëÀÇ CCTV¸¦ AI ±â¹Ý ºÐ¼®À» ÅëÇØ °üÁ¦±Ù¹«ÀÚ¿¡°Ô ¾Ë·Á ó¸®ÇÏ´Â ½Ã½ºÅÛÀ¸·Î »ç¶÷ÀÌ Á÷Á¢ °üÁ¦ÇÏ´Â ½Ã½ºÅÛÀÇ ÇѰ踦 ±Øº¹Çϱâ À§ÇØ µµÀԵƴÙ. 2024.7.1 ksm7976@yna.co.kr/2024-07-01 08:50:32/
미래 도시의 핵심 경쟁력이 인공지능(AI) 기반의 행정 및 서비스 제공 능력으로 전환되고 있지만, 기존 스마트시티 정책은 그 잠재력을 온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동안 스마트시티 사업은 버스정보시스템, 도시통합센터(CCTV), 스마트 횡단보도 등 국민 편의를 증진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다양한 도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주력해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방대한 도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 운영 전반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며 시민 개개인에게 맞춤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는 한계가 존재했다. 이제 대한민국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도시 행정 및 서비스의 근본적인 혁신을 이루기 위해 ‘AI 시티’ 조성이라는 새로운 국정과제를 본격적으로 추진하며 미래 도시의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AI 시티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으로서, 기존 스마트시티를 넘어 도시 행정과 서비스 전반에 AI를 전면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토교통부는 AI 시티 추진 TF를 구성하고 5일 착수회의를 개최하며 이 프로젝트의 본격적인 시작을 알렸다. 이 TF에는 도시, 건축, 공간정보, 모빌리티 등 관련 부서뿐만 아니라 국토연구원, 건축공간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국토정보공사(LX) 등 핵심 유관기관이 총망라되어 참여한다. AI 시티는 방대한 도시 데이터를 기반으로 AI의 예측 및 분석 능력을 활용하여 교통, 에너지, 안전 등 복잡한 도시 문제를 사전에 감지하고 해결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나아가, 이를 통해 국민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도시의 다양한 영역에서 제공함으로써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AI 시티 조성 계획은 세계 AI 시장을 선도하고 국민의 체감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한국의 야심찬 발걸음이며, AI 대전환(AX: AI Transformation)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히 보여준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국토부는 AI 특화 시범도시 사업지 선정 및 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예산 40억 원을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편성하는 등 실질적인 실행력을 확보하고 있다.
AI 시티 조성TF의 첫 회의에서는 AI 특화 시범도시 사업지 선정 및 본격적인 사업계획 수립을 위한 전략 논의와 더불어, AI 분야의 민간기업 및 학계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최근의 AI 기술 변화 동향을 반영한 정부 정책 추진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의견을 교환한다. 이상주 국토부 국토도시실장은 “AI 시티는 단순한 기술 도입을 넘어 인공지능이 도시계획 및 운영을 주도적으로 수행하며 국민 생활을 혁신하는 새로운 미래도시 모델”이라고 강조하며, 이번 TF를 통해 유관기관들이 긴밀히 협력하여 정책 수립과 추진 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신속하게 성과를 창출함으로써 한국형 AI 시티 비전을 실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AI 시티 조성 노력이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도시는 더욱 효율적으로 운영될 것이며 시민들은 안전하고 편리한 맞춤형 서비스를 누리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예측 불가능한 미래 사회의 다양한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데 AI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이는 곧 대한민국이 글로벌 스마트 도시 경쟁에서 한 단계 도약하는 발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