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가뭄으로 물 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강릉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지난 9월 5일(금) 강릉을 직접 방문해 가뭄으로 고통받는 주민들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현장의 어려움을 점검한 뒤 관계기관과의 긴급 대책 회의를 주재하며 이 같은 상황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이날 김 총리는 수압 부족으로 단수가 우려되는 고지대 주택가를 찾아 주민들의 불편을 직접 확인했다. 이어 현재 전국에서 집결한 소방차 81대가 급수를 지원하고 있는 홍제정수장을 방문하여 헌신하는 소방관들을 격려하며, 가뭄 상황에서도 시민들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깨끗한 물 공급을 위해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당부했다.
강릉시청에서 열린 가뭄 대책회의에서 김 총리는 “더 이상 하늘만 바라보는 대책으로는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없다”고 운을 떼며, 불확실한 기상 상황에 기대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분명히 했다. 특히 현재부터 내년 2월까지 물 부족이 더욱 심화될 수 있다는 전망과 함께, 소방관 및 자원봉사자들의 물 수송에도 한계가 있음을 지적했다. 이에 김 총리는 각 부처와 지자체, 관계기관에 구체적인 대책 추진을 강력히 촉구했다.
김 총리는 강릉시에 오봉저수지 취수가 불가능해지는 최악의 상황을 시민들에게 소상히 알리고, 적극적인 절수에 동참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행정안전부에는 오봉댐 저수율이 0%가 되더라도 하부에 남은 물을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할 것을, 한국수자원공사에는 지속되는 가뭄에 대비해 ‘이동형 컨테이너 해수담수화 설비’ 활용 방안을 검토할 것을 당부했다.
김 총리는 “최악의 상황이 닥쳤을 때 선택할 수 있는 대안이 많지 않다”는 냉엄한 현실을 강조하며, 김홍규 강릉시장에게는 시민들과 허심탄회하게 모든 대안을 논의하고 신속하게 결정을 내려줄 것을 당부했다. 더불어 정부 차원에서도 강릉시와 시민들의 결정에 대해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했다. 이는 단순한 현장 점검을 넘어, 가뭄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강릉시와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신속한 대책 실행이 요구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