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재정 효율화 기조 속에서도 국가유산청은 2026년, 1조 4,624억 원 규모의 예산을 편성하며 국가유산의 보호와 활용, 그리고 K-컬처의 세계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야심찬 계획을 공개했다. 이는 2025년 예산 1조 3,874억 원 대비 750억 원(5.4%) 증액된 규모로, 어려운 재정 여건 속에서도 국가유산청의 중요성과 신규 사업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이번 예산 편성의 핵심은 단순히 과거의 유산을 보존하는 것을 넘어, 이를 K-컬처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아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다. 이를 위해 국가유산청은 총 1,065억 원에 달하는 지출 구조조정을 단행하며 재정을 혁신하고, 절감된 재원을 바탕으로 국민의 삶과 조화로운 국가유산 보호 및 활용 정책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예산은 ▲ 국가유산 보수정비 및 보존 기반 구축에 5,560억 원, ▲ 국가유산 정책 전반에 2,537억 원, ▲ 문화유산에 987억 원, ▲ 자연 및 무형유산에 886억 원, ▲ 세계유산에 782억 원, ▲ 교육, 연구, 전시 분야에 1,038억 원, ▲ 궁능원 관리에 1,285억 원이 각각 투입된다. 특히 국가유산 보수정비 및 보존 기반 구축 예산은 260억 원이 증액되어 5,560억 원으로 확대되었으며, 국립무형유산원 분원 건립(119억 원), 전수교육관 건립 지원(87억 원) 등 무형유산 분야에도 투자가 집중된다. 역사문화권 정비 및 진흥 사업 역시 63억 원이 늘어난 193억 원을 확보했다.
주목할 만한 신규 사업으로는 2026년 7월 부산에서 개최될 제48차 세계유산위원회(178억 원) 준비가 포함되어 있다. 이는 한국이 세계유산협약 가입 이후 처음으로 개최하는 대규모 국제회의로, 196개국 정부 및 국제기구 관계자 약 3천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또한, 국가유산 지능형 첨단보존 기술개발(R&D)(44억 원), 경복궁 내 국가유산 대표 상품관 조성(8억 원) 등 K-컬처의 세계화와 관련된 사업들이 새롭게 추진된다.
국가유산청은 2026년 ‘문화강국의 든든한 뿌리, 국가유산의 가치 확산’이라는 목표 아래 세 가지 중점 투자 분야를 설정했다. 첫째, 미래 기후 위기와 재난에 대비한 국가유산 안전관리 강화 및 분야별 보존·활용 기반 확충이다. 둘째, K-컬처의 뿌리인 국가유산의 세계화를 통해 ‘빅 5 문화강국’을 실현하고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주력한다. 셋째, K-헤리티지 관광 활성화를 통해 지역 발전을 촉진하는 데 힘쓸 예정이다.
이번 예산 편성은 단순한 문화재 보존을 넘어, 국가유산을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아 K-컬처의 세계적인 확산을 견인하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국민들은 국가유산을 통해 풍요로운 문화 체험을 누리고, 한국 문화의 국제적 영향력 증대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