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 분야 종사자들이 직장 내 성희롱 및 성폭력 피해를 겪더라도 더 이상 혼자 고민하지 않아도 될 전망이다. 약 329만 명에 달하는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 그중 81.6%를 차지하는 여성 종사자들이 겪는 고충 해결을 위해 보건복지부가 관계 부처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나섰다. 보건복지 서비스업은 전체 여성 취업자의 20.7%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산업군이지만, 소규모 사업장, 폐쇄적 근무 환경, 그리고 재활 치료, 방문형 돌봄 등 업무 특성상 피해 사실을 드러내기 어렵다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보건복지부는 보건복지 종사자들이 겪는 성희롱 및 성폭력 피해에 대한 상담체계를 획기적으로 강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했다.
이번 대책의 핵심은 고용노동부와 여성가족부와의 협력 강화에 있다. 보건복지부는 직장 내 성희롱 관련 상담을 제공하는 고용노동부의 ‘고용평등심층상담서비스’와 여성 폭력 피해자에게 긴급 지원을 제공하는 여성가족부의 ‘여성긴급전화1366’과의 연계를 강화한다. 특히, 2025년 9월부터는 보건복지 분야의 고유한 특수성을 반영한 상담 교육 자료를 일선 상담사들에게 제공할 예정이다. 이는 고용평등심층상담서비스가 성희롱, 고용상 성차별 피해자에 대한 상담 및 지원을 제공하고, 여성긴급전화1366이 성폭력, 스토킹, 가정폭력 등 모든 여성 폭력 피해자에 대한 긴급 구조, 보호, 상담을 지원하는 기존의 역할을 넘어,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들이 겪는 문제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보건복지부는 앞으로도 사회복지 분야를 시작으로 보건의료, 장기요양, 사회서비스 등 각 분야별 성희롱 및 성폭력 상담에 특화된 맞춤형 교육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제공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보건복지 종사자들의 권익 보호를 강화하고, 안전한 근무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임호근 정책기획관은 “보건복지 분야 종사자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관계 부처와의 긴밀한 협력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다각적인 노력은 성희롱·성폭력 피해를 겪는 보건복지 종사자들이 더 이상 홀로 고통받지 않고, 실질적인 지원과 보호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