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적인 창업 지원 방식의 한계가 드러나면서, 정부는 경쟁력 있는 창업보육센터에 자원을 집중하는 방향으로 관련 사업을 전면 개편하고 있다. 과거 창업보육센터들은 단순히 저렴한 공간을 제공하는 수준에 머물렀다는 평가를 받아왔으며, 이는 변화하는 창업 환경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 결과로 분석된다.
그동안 창업보육센터 지원 예산이 감소하고 있다는 지적은 있었으나, 2020년 예산은 180억 원이 아닌 124억 원이었다. 중요한 점은 창업 생태계가 벤처투자, 오픈이노베이션 등으로 진화하고 다양한 창업지원기관들이 등장하는 동안, 창업보육센터는 이러한 변화를 따라가지 못했다는 점이다. 벤처투자회사, 액셀러레이터, 창조경제혁신센터, 창업사관학교, 팁스 등 경쟁자들은 계속해서 새로운 육성 방식을 선보였지만, 창업보육센터는 여전히 임대료 지원에 의존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문제점은 다양한 평가를 통해 드러났다. 2022년 재정지원 일자리사업평가에서는 창업 공간 제공을 넘어 센터의 역량을 강화하는 사업 개선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2023년 보조사업 연장평가에서는 입주기업의 비용 분담과 자체 수익 사업을 통한 자립 유도, 그리고 점진적인 보조율 축소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자격을 자진 반납한 창업보육센터들의 경영평가 결과는 평균보다 20% 이상 낮았으며, 보육 전문 인력 확보 노력이나 운영 의지 또한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정부는 ‘뿌려주기식’ 정책 방향을 전면 수정하여, 경쟁력을 갖춘 창업보육센터에 더 많은 지원을 집중하기로 했다. 창업보육센터가 단순한 ‘저렴한 창업 공간’을 넘어 ‘초기 창업기업 보육의 대표 인프라’로서 차별화된 역량을 갖추도록 관련 사업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입주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사업비를 확대하는 한편, 보육 기능이 미흡한 센터들의 운영 유지에만 활용된다는 비판을 받았던 운영비 보조는 중단하였다.
또한, 각 센터가 보유한 특화 역량을 발휘하여 입주기업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도록 산학협력, 산업특화, 지역거점 등 특화 유형을 구분하여 공모를 통해 경쟁력 있는 창업보육센터를 선발하고 지원할 계획이다. 이러한 개편 과정에서 정부는 정책적 고려도 잊지 않았다. 창업보육센터 전체 예산의 65%를 상대적으로 지원이 열악한 비수도권 센터에 배정하며, 특히 인구 감소 지역 내 창업보육센터는 별도로 선발하여 지원하는 등 지역 균형 발전에도 힘쓰고 있다.
앞으로도 정부는 창업보육센터 실태조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미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 추가적인 정책 대안을 마련해 나갈 예정이다. 이러한 일련의 조치들을 통해 창업보육센터는 단순한 공간 제공자를 넘어, 초기 창업 기업의 성공을 견인하는 핵심 인프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