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관 운영 정책이 국민의 실질적인 수요와 흥미를 반영하지 못하면서 방향성을 잃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기존의 일방적인 정책 수립 방식으로는 과학관이 대중에게 더욱 친근하게 다가가고 실질적인 과학 문화 확산에 기여하는 데 한계가 있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국민 참여로 감 잡는 과학관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국민이 직접 과학관 운영 및 프로그램 개선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이를 정책 결정 과정에 반영하는 참여형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국민은 과학관에서 경험하고 느낀 점, 개선되기를 바라는 부분 등에 대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렇게 수렴된 국민의 의견을 면밀히 분석하여 과학관 정책 수립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이는 곧 과학관이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콘텐츠를 제공하고, 더 많은 사람들이 과학에 흥미를 느끼고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하는 실질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프로젝트를 통해 국민의 ‘감’으로 과학관 정책의 방향을 잡는다는 것은, 단순히 여론을 수렴하는 것을 넘어 과학관이 시대의 변화와 대중의 요구를 민감하게 감지하고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체질을 갖추게 됨을 의미한다. 참여와 소통을 기반으로 하는 과학관 운영은 과학관을 딱딱하고 어려운 공간이 아닌, 누구나 즐겁게 과학을 배우고 경험할 수 있는 살아있는 학습 공간으로 변화시킬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향후 이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안착한다면, 이는 대한민국 과학 문화 발전의 새로운 이정표가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