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산림의 67%가 사유림으로 전환되었고 산주의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정작 산을 소유하고도 거주하지 않는 부재 산주의 비율이 56%에 달하면서 지속 가능한 산림 관리에 심각한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러한 상황은 산림 자원의 가치 확산을 저해하고 산주들이 자신의 산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소득을 창출할 기회를 놓치게 만드는 근본적인 문제로 지적된다.
이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내산(山)내돈’ 산림교육 강좌를 새롭게 개설한다. 이 강좌는 산주뿐만 아니라 산림 경영에 관심을 가진 국민이라면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실질적인 산림 경영과 소득 모델 설계를 돕는 전문적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번 강좌는 ▲산촌의 이해와 산 탐색하기 ▲산림 경영 지원 제도 이해와 산림 소득 품목 알아보기 ▲산림 공간을 활용한 가치 창출 사례 알아보기 ▲임업 6차 산업 현장 답사 등 총 네 가지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은 자신의 산림을 어떻게 이해하고 경영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고, 실제 소득으로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학습하게 된다.
‘내산(山)내돈’ 교육 강좌는 2025년 행정안전부 공공서비스 디자인 우수 과제로 선정되어 장관상을 수상하기도 한 우수 프로그램이다. 이 강좌는 9월 8일 월요일부터 9월 15일 금요일까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인생케어평생학습관에서 운영되며, 서대문구 평생학습포털(https://www.sdm.go.kr/lll)을 통해 신청할 수 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휴먼서비스연구과의 하시연 박사는 “이번 강좌는 산주들이 소유한 산림의 가치를 제대로 이해하고, 실행 가능한 경영 및 소득 전략을 스스로 마련하도록 돕는 실천 중심의 교육”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실제 현장 답사를 통해 학습한 내용을 직접 적용해보는 경험까지 제공함으로써, 교육의 실효성을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교육이 확산된다면 부재 산주로 인한 산림 관리의 공백을 메우고, 산림 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과 소득 증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