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중형 자폭 무인기를 비롯한 각종 드론 공격 위협이 현실화되면서, 이에 대한 효과적인 차단 및 방호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기존의 방어 체계로는 빠르게 발전하는 드론 기술과 무기화 추세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특히, 적 무인기가 주요 시설이나 장비에 근접하여 자폭 공격을 감행할 경우, 그 피해는 막대할 것으로 예상되어 이에 대한 선제적이고 신속한 대응 능력 확보가 군의 중요한 숙제로 남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위사업청은 ‘대드론 하드킬 근접방호체계’를 신속시범사업 대상 사업으로 선정했다. 이 사업은 민간의 첨단 기술을 군에 빠르게 적용하여 적 드론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된다. ‘대드론 하드킬 근접방호체계’는 적의 중형 자폭 무인기가 아군의 주요 시설이나 장비에 접근하는 것을 자체 탐지레이더로 사전에 포착한다. 이후 일정 거리 안으로 진입할 경우, 요격 드론을 순차적으로 발사하여 직접 격추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 이 시스템은 탐지레이더를 통해 중거리에서부터 적 드론을 추적하며 요격 드론을 유도하고, 목표물이 일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요격 드론에 장착된 적외선(IR) 탐색기를 이용해 최종 포착 및 요격을 수행한다. 요격의 성공 여부는 전자광학/적외선(EO/IR) 장비를 통해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만약 1차 요격에 실패하더라도 남아있는 요격 드론으로 재차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첨단 요격 드론 무기체계는 북한이 대량 생산체계를 갖춘 중형 자폭 무인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자폭 무인기가 군 주요 시설을 위협하는 상황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비용 대비 성능이 뛰어나며 국가 및 군의 핵심 시설을 방호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로 평가된다. 무기체계 개발에 필요한 핵심 기술들은 유사 체계의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단기간 내에 연구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방위사업청은 10월 중 입찰공고를 통해 사업수행기관을 선정하고 협약을 체결한 후, 약 2년간의 연구개발을 거쳐 2028년부터 실제 군에 배치하여 성능 입증 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다. 방위사업청 미래전력사업본부장 정규헌 위원장은 “이번 신속시범사업을 통해 우리 군의 적 드론 위협 대응 능력이 한층 강화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민간의 축적된 첨단 기술을 신속시범사업과 같은 제도를 통해 군에 빠르게 적용하여 미래전에서 승리하는 과학기술 강군을 육성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