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사회는 지역과 소득, 세대에 따라 누구나 동일한 교통 서비스를 누리지 못하는 심각한 교통 불편을 겪고 있다. 이는 국민 누구나 어디에서든 편리하고 안전하게 이동할 권리를 침해하며, 지역 균형 발전에도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국토 균형 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해 국토교통부는 2026년 예산안을 통해 교통 복지 확대와 미래 도시 인프라 구축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먼저 국민 누구나 동일한 교통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보편적 교통 복지 실현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한다. 광역 및 도시철도 사업 지원은 기존 0.6조 원에서 0.9조 원으로 상향 조정되어 15개 사업에 대한 지원이 확대될 예정이다. 또한, 전국 BRT(간선급행버스체계) 사업에는 182억 원에서 253억 원으로 투자가 확대되어 6개 지역의 교통 환경 개선이 이루어진다. 벽지 노선에 대한 교통 지원 역시 394억 원에서 403억 원으로 강화되어 교통 소외 지역 주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이는 지역, 소득, 세대에 따른 교통 불편을 종식시키고 모든 국민이 동등한 교통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와 더불어 국토교통부는 미래 도시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도 병행한다. AI 기술을 도시에 적용하는 AI 시범 도시를 신규 조성하는 데 40억 원을 투입하며, 이는 첨단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도시 구현의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기후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탄소 중립 산단 확대에 2억 원에서 10억 원으로 투자를 늘린다. 캠퍼스 혁신파크 내 첨단 산업단지 조성 역시 경북대학교와 전남대학교를 중심으로 40억 원에서 142억 원으로 대폭 확대되어 지역 거점의 미래 도약 발판을 마련한다.
이러한 국토교통부의 2026년 예산안은 단순히 교통 인프라 확충을 넘어, 국민 누구나 어디에서나 더 안전하고 더 편리한 교통을 이용하며 미래 도시의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AI 시범 도시 조성과 탄소 중립 산단 확대, 캠퍼스 혁신파크 조성 등은 지역 거점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아 국가 전체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이다. 교통 복지와 미래 도시 건설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이번 투자는 국민 삶의 질 향상과 지속 가능한 국토 발전을 위한 의미 있는 발자취로 기록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