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과 공군이 운용 중인 UH/HH-60 헬기의 노후화로 인한 작전 능력 저하 및 미래 전장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 미흡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이에 방위사업청은 9,943억원을 투입하여 UH/HH-60 헬기의 성능개량 사업을 본격화한다. 이번 사업은 기존 헬기를 미래 전장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다목적 플랫폼으로 진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체계개발 주관기관인 대한항공 테크센터(부산)에서 지난 9월 9일(화) 개최된 착수회의에는 방위사업청, 육군, 공군, 국방기술품질원 등이 참석하여 전반적인 사업계획을 공유하고 각 분야별 체계개발 추진계획 및 협조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 회의를 통해 UH/HH-60 헬기는 단순한 수송 임무를 넘어선 특수작전용 헬기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첨단 기술을 탑재하여 군의 핵심 전력으로 거듭날 준비를 마쳤다.
이번 성능개량 사업의 핵심은 기존 헬기의 아날로그 조종실을 전자지도, 다기능시현기 등이 탑재된 디지털 조종실로 전면 개량하는 것이다. 더불어 새로운 생존 및 항법/통신장비를 탑재함으로써 작전 수행 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2029년부터 성능개량된 헬기가 실전 배치되면, 디지털 조종실과 함께 자동 제자리비행 장치, 장애물 경보장치 등이 설치되어 조종사들의 임무 부담이 대폭 경감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통합 생존관리 컴퓨터를 중심으로 레이더경보수신기 등 다양한 생존장비가 장착되어 특수작전 시 생존성이 강화되며, 육군의 공중침투 능력과 공군의 탐색구조 능력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헬기 성능개량을 넘어 국가 경제와 안보 강화에도 동시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산화율 향상과 국내 부품산업 기반 확대를 통해 장기적으로 수입 대체 효과를 거두는 것은 물론, 해외사업 참여를 통한 수출 가능성까지 기대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30개국 이상에서 운용 중인 UH-60 계열 헬기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창정비를 수행하며 다양한 수리, 개조 능력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국내 연구개발을 통해 50개 이상의 구성품을 국산화함으로써 항공분야 기술력 제고, 안정적인 군수지원체계 구축, 장기적인 비용 절감 및 일자리 창출 등 국내 방위산업 육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방위사업청 헬기사업부장(육군준장 고형석)은 “UH/HH-60 성능개량 사업을 통해 우리 군의 공중침투 및 탐색구조 능력이 대폭 향상되어 변화하는 전장상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며, “국산화율 향상 등 방위산업 육성을 위해서도 관계기관과 긴밀하게 협조하고 성공적인 사업 관리를 위해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