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2025년 공시대상 기업집단으로 지정된 92개 집단 중 총수가 있는 81개 기업집단(소속회사 3,090개사)의 주식 소유 현황을 분석해 공개했다. 이번 분석은 기업 집단의 복잡한 지배 구조를 파악하고, 총수 일가 중심의 사익 편취 가능성을 점검하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 특히 올해 분석 결과, 기업 집단의 내부 지분율이 지난해보다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공정위의 분석에 따르면, 2025년 기업 집단의 내부 지분율은 62.4%로 집계되었다. 이는 지난해 78개 집단의 61.1%와 비교했을 때 소폭 상승한 수치다. 내부 지분율은 계열회사의 총발행주식 중 동일인, 친족, 계열회사, 비영리법인, 임원 등이 보유한 주식 및 자기주식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러한 내부 지분율의 상승은 기업 지배 구조의 투명성 및 공정성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최근 5년간의 내부 지분율 추이를 살펴보면, 총수 일가의 지분율은 3.5%에서 3.7% 수준으로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계열회사의 지분율은 2021년 51.7%에서 2025년 55.9%로 꾸준히 상승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이러한 계열회사의 지분율 상승은 대형 인수합병(M&A)이나 지주회사로의 전환 과정에 있는 집단, 또는 이미 전환된 집단이 신규로 공시대상 기업집단에 지정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한진’과 ‘한국앤컴퍼니그룹’은 대형 M&A를, ‘글로벌세아’, ‘엘아이지’, ‘빗썸’ 등은 지주회사 전환 등의 이유로 새롭게 지정된 바 있다.
이번 분석에서는 총수의 지분율이 높은 기업집단으로 ‘크래프톤'(29.8%), ‘부영'(23.1%), ‘반도홀딩스'(19.3%), ‘아모레퍼시픽'(17.1%), ‘DB'(16.5%)가 이름을 올렸다. 또한, 총수 2세의 지분율이 높은 기업집단으로는 ‘넥슨'(64.5%), ‘반도홀딩스'(22.5%), ‘한국앤컴퍼니그룹'(21.7%), ‘소노인터내셔널'(10.8%), ‘애경'(10.6%) 등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주식 소유 현황 분석은 기업 집단 내 의사결정 구조와 실질적인 지배력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 제공 역할을 한다.
공정위의 이번 주식 소유 현황 분석 및 공개는 기업집단의 지배 구조 투명성을 제고하고, 불공정 거래 행위를 예방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계열회사의 지분율은 향후 기업 집단의 경영 방식 및 의사결정 과정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분석과 논의를 촉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