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자동차로의 전환이 세계적인 추세로 자리 잡았지만, 국내에서는 여러 난관에 봉착하며 기대만큼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특히 고가 정책으로 인해 일반 소비자들이 전기차 및 수소차로의 전환을 망설이는 가운데, 내연기관차 중심의 자동차 시장 구조를 혁신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정부가 2025년 전기차 보급 확대를 목표로 하는 정책을 발표하며, 내연기관차 시대의 종언을 더욱 가속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정부는 2025년까지 전기차 보급을 대폭 확대, 전년 동기 대비 48% 증가라는 야심찬 목표를 설정했다. 이는 단순히 신규 차량 판매 대수를 늘리는 것을 넘어, 기존 내연기관차를 보유한 소비자들이 전기차 및 수소차로 보다 수월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는 방침을 담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로 전환하는 경우, 실질적인 구매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전환지원금’ 제도를 신설할 계획이다. 또한, 전기차 및 수소차 구매를 희망하는 소비자들이 초기 자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관련 금융 지원 프로그램인 펀드 및 융자를 새롭게 마련하고 이를 2026년 예산안에 반영하여 제도적인 기반을 다질 예정이다. 이러한 정책들은 고가의 전기차 및 수소차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추고, 소비자들의 실질적인 구매 결정을 촉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만약 이러한 정책들이 차질 없이 추진되고 소비자들이 적극적으로 호응한다면, 국내 자동차 시장은 획기적인 변화를 맞이할 수 있다. 우선, 전기차 보급 확대는 대기오염 감소 및 탄소 배출 저감이라는 환경적 목표 달성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또한, 전환지원금과 금융 지원을 통해 소비자들이 느끼는 경제적 부담이 완화되면서, 내연기관차 중심의 자동차 소비 행태가 점진적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높다. 장기적으로는 국내 자동차 산업 생태계가 전기·수소차 중심으로 재편되고, 관련 기술 개발 및 인프라 구축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궁극적으로 친환경 미래 모빌리티 시대를 앞당기는 중요한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