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쌀값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농가는 오히려 소외되고 유통업체만 이득을 취한다는 보도가 나왔으나, 이는 사실과 다르다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설명이 이어졌다. 해당 보도는 지난 9월 10일 연합뉴스 TV에서 “쌀값 올라도 농민은 소외… 유통 소매가격 마진율만 ‘쑥'”이라는 제목으로 쌀값 상승 국면에서 나타나는 유통 구조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개선 필요성을 제기한 바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우선 쌀값 상승이 농가 소득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음을 강조했다. 농가는 통상적으로 수확기인 10월부터 12월 사이에 수확한 벼를 농협 등 산지유통업체에 대부분 판매하게 된다. 이때 산지유통업체가 벼 매입가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것이 바로 이 시기의 쌀값이다. 따라서 수확기 쌀값은 농가 소득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 수확기 쌀값은 단경기(7월~9월) 쌀값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올해의 경우, 단경기 쌀값이 비교적 뒷받침되어 수확기 쌀값 역시 지난해보다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쌀값 상승에도 농가가 소외된다는 보도 내용은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는 것이 농림축산식품부의 입장이다.
이어 쌀 유통 구조가 유통업체만을 배불린다는 주장 역시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산지유통업체는 벼를 매입하여 이를 도정한 후 쌀로 판매하는 과정을 거친다. 벼를 매입한 이후 쌀 판매에 따른 모든 손익은 산지유통업체가 부담하게 된다. 과거 2006년부터 2025년 양곡연도 동안 단경기 쌀값이 전년도 수확기 쌀값보다 높아 산지유통업체가 수익을 올렸던 경우는 총 10회에 불과했다. 반대로 수확기 이후 쌀값이 하락할 경우에는 유통업체가 손해를 보는 구조임을 명확히 했다.
또한, 쌀은 타 품목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통 구조가 단순한 편이라고 설명했다. 농가로부터 벼를 매입한 농협 등 산지유통업체가 직접 벼를 도정하고 포장까지 완료한 후 도·소매업체에 판매하는 방식이다. 경매 과정을 거치는 다른 품목들과 달리, 쌀은 중간 과정이 없어 유통 경로가 짧고 관련 비용도 적게 소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앞으로도 쌀 시장 동향을 지속적으로 면밀히 모니터링할 계획이며,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대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여 쌀값이 안정적인 수준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