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산 수입 훈제오리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유전자가 검출되면서 축산물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검역 당국은 비상에 걸렸으며, 중국산 축산물에 대한 전반적인 검역 강화 조치를 시행하고 나섰다. 이러한 조치는 단순히 의심 사례에 대한 대응을 넘어, 향후 유사한 상황의 재발을 방지하고 국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중국의 한 작업장에서 생산 및 수입된 열처리 가금육에서 고병원성 AI 유전자가 확인된 즉시 강력한 대응에 나섰다. 우선, 해당 물량이 국내에 유통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전량 반송 또는 폐기 처분했다. 또한, 문제가 발생한 작업장에 대해서는 한국으로의 수출을 즉시 중단하도록 조치했다. 더 나아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중국산 전체 열처리 가금육 제품에 대한 정밀 검사를 대폭 강화함으로써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고자 했다.
이번 검출 건은 2025년 8월 19일, 중국 내 특정 작업장에서 생산된 물량에서 확인되었다. 중요한 점은, 이는 살아있는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아니라 바이러스의 유전자만이 검출되었다는 사실이다. 유전자만으로는 AI 감염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이는 바이러스 자체의 직접적인 유입과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잠재적 위험성을 간과할 수 없기에, 검역 당국은 더욱 철저한 관리를 이어가고 있다.
이와 더불어 농림축산식품부는 중국 정부에 해당 검출 사실을 공식적으로 통보하고, 정확한 원인 규명과 함께 실질적인 개선 조치 및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강력히 요구했다. 수출 중단 조치 이후, 해당 작업장에서 한국으로 추가 수출된 물량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농림축산식품부는 고병원성 AI와 같은 해외 악성 가축전염병의 국내 유입을 막기 위한 국경 검역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지속적인 검사 강화와 엄격한 관리 감독을 통해 국민들이 안심하고 축산물을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강화된 검역 시스템은 해외에서 발생하는 가축 질병의 국내 유입 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우리 축산업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