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취업자 수가 16만 6000명 증가하며 8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세를 이어갔다는 통계가 발표됐다. 이는 2025 완주군 일자리 박람회 현장에서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던 긍정적인 고용 흐름을 보여준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3%, 15~64세 고용률은 69.9%로 각각 0.1%p씩 상승했으며, 경제활동참가율 또한 64.6%로 0.2%p 상승하며 전반적인 고용 시장의 활력을 시사한다. 특히 15세 이상 고용률, 15~64세 고용률, 경제활동참가율은 8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1월부터 8월까지의 누적 지표 또한 같은 기간 기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서비스업이 보건복지업을 중심으로 48만 4000명까지 증가하며 고용 증가를 견인했다. 최근 부진했던 숙박음식업 또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효과 등에 힘입어 전월 대비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제조업은 고용 감소세가 지속되었으나 감소폭은 6만 1000명으로 줄어들며 일부 긍정적인 신호를 보냈다. 지위별로는 상용직이 34만 8000명으로 증가하며 안정적인 일자리 증가를 나타냈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지표 속에서도 주목해야 할 심각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바로 청년층의 고용 여건 악화다. 15세 이상 고용률에서 청년층(45.1%)은 1.6%p 하락했으며, 취업자 수 감소폭은 21만 9000명으로 확대되었다. 전문과학·정보통신업에서의 증가세 축소는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부족 현상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또한, 30대와 40대, 60세 이상 연령층의 고용률은 상승한 반면, 50대 연령층은 보합세를 유지하는 등 전반적인 고용률 상승에도 불구하고 특정 연령층의 고용 부진은 더욱 두드러진다. 건설업의 경우 입주물량 감소 영향으로 고용 감소폭이 13만 2000명으로 확대되었고, 농림어업 역시 강우 등 기상 영향으로 13만 8000명이 감소하는 등 일부 산업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AI 대전환과 초혁신경제 30대 선도프로젝트 등 새 정부 경제성장전략의 핵심 과제를 적극 추진하여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창출 노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소비심리 개선 흐름을 이어가기 위한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과 추석 민생안정대책 마련도 차질 없이 진행될 예정이다. 관세 영향 최소화를 위한 피해 기업 대상 정책자금 지원 강화, 산업 및 고용 위기 선제 대응 지역 지원, 지방 중심 건설 투자 보강 방안 추진 등도 병행된다. 특히, 청년 AI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 취업 준비 지원 강화, 구직·쉬었음 청년 대상 고용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청년 고용 여건 개선을 위한 노력을 배가할 방침이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들이 실효성을 거둔다면, 8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는 고용 호조세 속에서도 소외되고 있는 청년층의 고용 문제 해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