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반의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이 가속화되는 가운데, 정작 복지 및 돌봄 현장에서는 이러한 기술 발전의 혜택이 국민 개개인에게 실질적으로 와닿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취약계층을 포함한 모든 국민이 AI 기술의 긍정적 효과를 체감하고, 나아가 사회적 고립이나 돌봄 공백과 같은 고질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AI 복지·돌봄 혁신 추진단(TF) 제2차 회의를 개최하고, 이러한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혁신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8월 8일 AI 복지·돌봄 혁신 추진단을 구성하고 첫 회의를 진행한 바 있으며, 이번 제2차 회의는 이스란 제1차관의 주재 하에 더욱 구체적인 논의를 이어갔다. 이번 회의에서는 AI 복지 전문인력 양성이라는 새로운 과제가 제시되었으며, 현장 종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취약계층의 AI 및 디지털 기기 활용 능력을 높이는 방안도 집중적으로 다루어졌다. 또한, 장기요양 재가수급자의 일상생활과 신체 활동을 지원하는 복지용구 사업의 혁신을 위해 건강보험공단이 참여함으로써, AI 기술이 실제 돌봄 현장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그렸다.
이러한 혁신을 위한 재정적 기반도 대폭 강화된다. 2026년 보건복지부 예산에는 AI 복지상담 및 위기감지 시스템 구축, 그리고 돌봄 수요자의 가정이나 사회복지시설에 AI를 접목하는 시범사업을 위해 59억 원의 신규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더불어 복지·돌봄 분야에서 AI 응용 제품의 신속한 상용화를 지원하기 위한 AX-Sprint 예산으로 300억 원이 신규 편성되어, 혁신적인 기술이 빠르게 현장에 적용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보건복지부는 확보된 예산을 마중물 삼아, 2026년까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조기에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현장에서 절실히 필요로 하는 복지·돌봄 기술이 개발되고 실제 적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점검해 나갈 계획이다. 나아가 보건복지부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과 함께 내년 상반기 내 AI 복지·돌봄 혁신 로드맵을 수립하여 발표할 예정이다. 추진단 내에서는 연구 계획을 공유하고, 각 작업반별 핵심 추진 과제와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한 전문가 의견 수렴 과정을 거칠 것이다.
이스란 제1차관은 “AI 기술의 발전이 취약계층을 포함한 사회 전체의 삶의 질을 개선시키는 데 기여하도록 이끄는 것이 보건복지부의 중요한 역할이자 소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국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과제들을 신속하게 발굴하고 추진함으로써, AI와 사람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사회 기반을 굳건히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AI 기술이 단순한 첨단 기술에 머물지 않고, 우리 사회의 가장 필요한 곳에 온기를 불어넣는 실질적인 복지·돌봄 솔루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