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솟는 물가로 서민 경제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민생 안정과 국민 안전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구체적인 정책 추진에 나선다. 특히 수산물 가격 안정과 어업 현장의 안전 관리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면서, 이에 대한 맞춤형 대책이 마련되었다.
이러한 배경에는 고등어 등 주요 수산물 가격 상승으로 인한 가계 부담 증가와 더불어, 어업 현장의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 부족이라는 문제가 자리하고 있다. 고등어는 많은 가정에서 소비되는 대표적인 생선임에도 불구하고 최근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져 서민들의 식탁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었다. 또한, 어선 안전 감독 인력의 부족은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안전 문제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어렵게 만들고 있었다.
이에 정부는 고등어 할당관세 적용 기간을 확대하고 관세율을 대폭 인하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기존에 10%였던 고등어 할당관세율을 0%로 낮추고, 이 적용 기간을 7월부터 12월까지로 확대함으로써 하반기 고등어 가격 안정화를 꾀한다는 복안이다. 이는 수입 고등어의 가격 경쟁력을 높여 국내 소비자들의 구매 부담을 직접적으로 줄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어업 현장의 안전 강화를 위해 어선안전감독원 증원도 단행된다. 기존 10명에서 30명으로 어선안전감독원을 대폭 늘려, 어선 안전 점검 및 감독 업무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이는 어선 사고 예방 활동을 체계적으로 강화하고, 어업 종사자들의 안전을 더욱 두텁게 보호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고등어 할당관세 확대와 어선안전감독원 증원 조치가 성공적으로 시행될 경우, 우선적으로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어업 현장의 안전 관리 역량이 강화되면서 해양 사고 발생률 감소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이러한 민생 안정 및 국민 안전 정책을 통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나갈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