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보이스피싱 범죄가 더욱 진화하며 시민들의 피해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고도화되는 사기 전화에 대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발걸음을 내딛었다. 이는 단순한 사기 전화 신고 및 차단 수준을 넘어,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선제적 탐지 능력 강화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전통적인 보이스피싱 수법이 점차 정교해지고, AI 기술을 악용한 음성변조, 맞춤형 범죄 등 새로운 유형의 사기가 등장하면서 기존의 대응 방식만으로는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는 분석이다. 특히, 범죄자들이 최신 기술을 빠르게 습득하고 이를 범죄에 이용함에 따라, 정부와 통신사, 보안업체 등 관련 민간 기업들이 각자의 기술력과 정보를 공유하고 협력하는 체계적인 대응책 마련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사기전화(보이스피싱) 대응 연구개발(R&D) 민·관 협의체’를 발족하며 이러한 문제 해결에 나섰다. 이번 협의체는 민간의 혁신적인 기술력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결합하여, 인공지능 기반의 사기 전화 탐지 기술 성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AI가 보이스피싱에 사용되는 음성 패턴, 통화 방식, 접속 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사기 전화 여부를 조기에 판별하는 기술을 고도화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축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새로운 유형의 보이스피싱 수법에 대한 학습 및 대응 알고리즘 개발에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이러한 민·관 협력 R&D를 통해 보이스피싱 탐지 기술의 성능이 향상된다면, 시민들은 보다 안전한 통신 환경을 누릴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조기에 사기 전화를 탐지하고 차단하는 능력이 강화됨으로써, 잠재적인 피해를 예방하고 개인 정보 유출 및 금전적 손실과 같은 직접적인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곧 시민들의 금융 사기 범죄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고,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사회적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