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공동의 소중한 기록유산을 보존하고 미래 세대에 전달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국제회의가 서울에서 열렸다. 외교부와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공동 주최하고 국가유산청이 후원한 이번 「세계기록유산의 미래 국제회의(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Future of the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는 9월 8일부터 9일까지 양일간 진행되었다.
이번 회의는 세계기록유산 프로그램이 직면한 도전과제들을 점검하고, 프로그램의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중요한 자리였다. 국내외 기록유산 분야 전문가들을 비롯하여 국가기록원, 유네스코 국제기록유산센터 등 관계기관 관계자, 그리고 일반 참석자 등 100여 명이 자리를 함께했다. 특히 Jan Bos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 의장, Joie Springer 세계기록유산 등재소위원회 위원장, 서경호 세계기록유산 한국위원회 위원장 등 저명한 인사들이 참석하여 전문적인 식견을 공유했다.
정기홍 공공외교대사는 개회사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2004년 ‘유네스코 직지 세계기록유산상’을 제정하는 등 세계기록유산 프로그램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해 왔음을 강조했다. 그는 이번 회의를 통해 기록유산의 등재, 보존,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하는 도전과제를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윤병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사무총장 직무대행은 환영사를 통해 세계기록유산이 인류 공동의 유산을 보호하려는 숭고한 목적에서 시작되었음을 상기시켰다. 그는 이번 회의가 과거의 기억을 효과적으로 보존하는 동시에, 변화하는 미래 환경의 도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들을 논의하는 장이 될 것이라는 희망을 피력했다. 참가자들은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세계기록유산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발전과 인류의 소중한 기록을 미래 세대에게 온전히 물려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