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 사회를 단순한 연결을 넘어 실질적인 연대로 강화하겠다는 재외동포청의 의지가 표명되었다. 김경협 신임 동포청장은 10일 취임식을 통해 이러한 포부를 밝히며, 재외동포사회가 가진 풍부한 경험, 지식, 그리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대한민국 사회와 더욱 긴밀하게 연결하고 활용하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이는 동포사회의 민간 외교 활동을 정부 차원에서 적극 지원하고,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국과 협력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연대 플랫폼을 구축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이러한 연대 강화의 움직임은 재외동포들의 정체성 함양이라는 중요한 문제 해결과도 맞닿아 있다. 김 청장은 특히 차세대 동포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글학교에 대한 지원을 대폭 확충하여 체계적인 교육 과정을 마련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는 미래 세대들이 한국과의 뿌리를 잊지 않고 한민족으로서의 소속감을 유지하도록 돕기 위한 핵심적인 노력으로 평가된다.
또한, 재외동포청은 대한민국의 높아진 위상에 걸맞게 재외동포 개개인의 다양한 배경과 필요에 부응하는 맞춤형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다. 다문화가정 자녀, 입양 동포, 그리고 역사적 특수성을 지닌 동포 등 다양한 출신 배경을 가진 이들이 한민족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소속감을 느낄 수 있도록 세심한 정책적 배려를 기울이겠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재외동포사회의 포용성과 통합성을 증진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보인다.
더불어, 국내에 체류하는 동포들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해외 동포 청년들의 국내 유치 및 정착을 지원함으로써 전 세계에 흩어진 동포들의 역량을 대한민국 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 적극적으로 기여하도록 활용하겠다는 포부도 드러냈다. 이러한 정책들은 재외동포청이 단순한 지원 기관을 넘어, 동포사회의 잠재력을 국가 발전의 동력으로 삼겠다는 전략적 방향성을 보여준다.
김경협 청장은 19대, 20대, 21대 국회에서 외교통일위원회, 정보위원회, 남북경제협력특별위원회 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폭넓은 외교 안보 분야의 경험을 쌓았다. 특히 국회의원 재직 시절 재외동포청 신설을 포함하는 재외동포기본법을 발의하기도 하는 등 재외동포 문제에 깊은 관심을 보여왔다. 이러한 배경은 그가 동포청장으로서 재외동포 사회와의 실질적인 연대를 강화하고 한국 사회와의 시너지를 창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