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상풍력 보급에 속도가 붙고 있지만, 복잡한 인허가 절차와 인프라 부족, 금융 조달의 어려움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 대전환의 핵심 과제인 해상풍력의 본격적인 보급을 가속화하기 위해 ‘범정부 해상풍력 보급 가속 TF’를 출범시키고, 지난 10일 첫 회의를 개최했다.
삼면이 바다인 국내의 풍부한 입지 잠재력을 활용할 수 있는 해상풍력은 탄소중립과 AI 시대를 이끌어갈 주력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또한, 조선, 철강 등 연관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커 미래 핵심 산업으로서의 중요성도 간과할 수 없다.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해상풍력은 0.35GW 수준에 머물러 있으나, 정부는 2022년 풍력 고정가격계약 경쟁입찰제 도입 이후 총 4.1GW 규모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를 선정하는 등 본격적인 보급 기반을 다져왔다. 해상풍력특별법 마련 역시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번에 출범한 범정부 TF는 초기 해상풍력 프로젝트들이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방해하는 주요 애로 사항들을 집중적으로 해소하는 데 초점을 맞출 예정이다. 특히, 그동안 사업 추진의 걸림돌로 작용해 온 복잡하고 긴 인허가 절차를 신속하게 처리하고, 부족한 인프라를 확충하며, 안정적인 금융 조달을 지원하는 방안을 중점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노력들을 통해 향후 국내 해상풍력의 보급 가속화를 위한 강력한 기반을 조성하겠다는 방침이다.
이호현 산업부 제2차관은 “모든 전문가들이 지금이 국내 해상풍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마지막 골든 타임이라고 말하고 있다”며, “선정된 4.1GW 사업들이 성공적으로 정착하는 것이 앞으로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 전체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이 기회를 놓치지 않기 위해 관계 부처 모두가 하나 된 팀이 되어 인허가 가속화, 인프라 확보, 금융 지원 등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TF 출범을 통해 복잡한 행정 절차의 간소화와 전폭적인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해상풍력 보급 확대에 상당한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