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면이 바다인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대규모 재생에너지원으로 주목받는 해상풍력이 국내 보급 확대에 난항을 겪고 있다. 탄소중립과 AI 시대를 이끌 핵심 동력이자 조선, 철강 등 연관 산업에 큰 파급효과를 가져올 미래 핵심 산업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 운영 중인 해상풍력 발전량은 총 0.35GW에 불과한 실정이다. 정부는 2022년 풍력 고정 가격계약 경쟁입찰제 도입과 해상풍력특별법(2025년 3월 공포 예정) 마련 등을 통해 해상풍력 보급 기반을 조성해 왔으나, 초기 해상풍력 프로젝트들이 성공적으로 안착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복잡한 인허가 절차, 인프라 부족, 금융 조달의 어려움 등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의 주요 애로사항을 해소하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는 국정과제인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 대전환의 핵심 과제로서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를 추진하기 위해, 9월 10일 오전 8시 범정부 해상풍력 보급 가속 태스크포스(T/F) 킥오프 회의를 개최하며 본격적인 시동을 걸었다.
이번 킥오프 회의에서는 초기 해상풍력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안착을 지원하고 향후 국내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관계 부처의 역량을 결집하여 문제 해결에 나서기로 뜻을 모았다. 이호현 산업부 제2차관은 “모든 전문가들이 지금이 국내 해상풍력을 활성화할 수 있는 마지막 골든 타임이라고 이야기하고 있으며, 낙찰 사업 4.1GW의 성공적인 정착이 앞으로 해상풍력 보급 가속화의 전체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 중요한 시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 관계 부처 모두가 원팀이 되어 인허가 가속화, 인프라 확보, 금융 지원 등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범정부적 노력으로 해상풍력 보급의 주요 걸림돌이었던 인허가 지연 문제가 해소되고, 필요한 인프라가 확충되며, 안정적인 금융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국내 해상풍력 발전량은 획기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곧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조선, 철강 등 관련 산업의 동반 성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결국, 이러한 솔루션들이 성공적으로 적용될 때, 해상풍력은 대한민국 에너지 대전환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