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57만 752명의 국가공무원이 당직 근무에 투입되는 등 공무원들의 당직 업무 부담이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 이러한 상황은 정부의 당직 제도 전반에 대한 전면적인 개편 필요성을 제기하는 배경이 되고 있다. 인사혁신처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국가공무원노동조합, 전국공무원노동조합, 공무원노동조합연맹 등 3개 노조와 정책 간담회를 개최하여 당직 제도 개선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간담회는 지난 7월 24일 대통령실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표된 ‘정부 당직제도 전면 개편’ 후속 조치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핵심 논의 사항 중 하나는 공무원들의 업무 경감을 위해 인공지능(AI) 기술을 당직 업무에 활용하는 방안이었다. 노조 측은 AI와 같은 첨단 기술을 도입하여 기존 당직 근무의 비효율성을 줄이고, 공무원들이 보다 핵심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인사혁신처 역시 이러한 의견을 수렴하여 당직 근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합리적인 방안 마련을 위해 심도 있는 논의와 제도 검토를 진행할 방침을 밝혔다.
특히, 인사혁신처 천지윤 윤리복무국장은 최근 급변하는 기술 환경, 특히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을 당직 제도 개편에 적극 반영할 것을 시사했다. 그는 대기성 당직 근무를 최소화하면서도 정부 차원의 긴급 상황 대응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혁신적인 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이는 과거의 획일적인 당직 운영 방식에서 벗어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공무원들의 사기 진작에도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이러한 당직 제도 개편 노력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다면, 공무원들이 불필요한 당직 부담에서 벗어나 본연의 업무에 더욱 집중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AI와 같은 신기술의 도입은 당직 근무의 질을 향상시키고, 유사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이는 결국 대국민 행정 서비스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