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공무원 당직제도 개선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인사혁신처가 최근 국가공무원노동조합 등 3개 노조와 함께 ‘국가공무원 당직제도 개편을 위한 정책간담회’를 개최하며, 수십 년간 이어져 온 당직 근무의 비효율성과 부담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나섰다. 이는 지난 7월 24일 대통령실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표된 ‘정부 당직제도 전면 개편’의 후속 조치로, 일선 공무원들의 업무 부담 경감을 위한 정부의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간담회에서 노조 측은 인공지능(AI) 활용 등을 통한 업무 경감 방안을 적극적으로 제안했다. 국가공무원노동조합 임동수 사무총장은 당직실과 상황실의 통합 운영, 그리고 인공지능과 같은 신기술을 활용하여 당직 업무를 획기적으로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이상국 중앙행정기관본부장 역시 공무원들의 불필요한 업무를 해소하기 위해 인공지능이나 민간 경비업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이러한 노조 측의 요구는 매년 수십만 명의 공무원이 당직 근무에 투입되면서 발생하는 업무 과중과 비효율성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에만 전국 1171개 기관에서 총 57만 752명의 국가공무원이 당직 근무에 참여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에 대해 인사혁신처는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며,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합리적인 방안 마련을 위해 충분한 논의와 제도 검토를 진행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천지윤 인사처 윤리복무국장은 인공지능 기술 발전과 같은 최근의 변화를 반영하여, 대기성 당직을 최소화하면서도 정부의 긴급 상황 대응 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단순히 관례적으로 운영되어 온 방식을 답습하는 것이 아니라, 시대의 변화에 발맞춰 당직 근무의 실질적인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인공지능 기술의 접목과 같은 혁신적인 접근을 통해 공무원 당직 근무의 효율성이 증대된다면, 이는 곧 불필요한 행정력 낭비를 줄이고 공무원들의 사기 진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긴급 상황 발생 시에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동시에,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실질적인 제도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과도한 당직 부담에서 벗어나 본연의 업무에 더욱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이다. 향후 인사혁신처와 노조 측의 구체적인 논의와 제도화 과정이 주목되는 이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