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사회 전반에 걸쳐 혁신적인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 발전의 혜택을 과학기술 분야에서 온전히 누리기 위해서는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다양한 과학기술 분야의 특성을 반영한 AI 모델 개발과 연구 지원 체계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한국형 ‘과학기술×인공 지능’ 추진을 본격화하며 주목받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전담반(TF)을 본격적으로 가동했다. 이 전담반은 한국의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AI 전략 수립을 목표로, AI 기술이 과학기술 연구와 혁신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진행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각 과학기술 분야에 특화된 기초 모형(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방향, 연구 과정을 지원하는 AI 기반 대리인(에이전트)의 역할, 그리고 이러한 AI 연구의 근간이 될 데이터 및 인프라 구축 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논의한다. 이는 곧 방대한 과학기술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분석하고 새로운 연구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데 AI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준다.
이번 전담반 운영 결과는 연내 발표될 「국가 과학기술을 위한 인공 지능(AI for S&T) 전략」 수립에 직접적으로 반영될 계획이다. 이 전략이 성공적으로 수립되고 실행된다면, 국내 과학기술 연구는 AI 기술을 통해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생산성 향상은 물론, 복잡하고 난해한 과학기술 난제 해결에도 AI가 결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연구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성을 줄이고, 새로운 과학기술 분야의 개척을 가속화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곧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