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회 곳곳에서 국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다양한 문제들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며 사회적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다. 산업 현장의 안전 불감증부터 예측 불가능한 자연재해, 그리고 과거의 아픔까지,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과 책임 있는 자세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생명 중시 사회’를 구현하겠다는 기치 아래, 지난 100일간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 핵심적인 문제 해결에 집중해왔다.
가장 시급한 과제 중 하나는 노동 환경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정부는 산업 현장에서의 사고 예방 및 근로자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산업안전 감독관을 300명 긴급 증원하는 조치를 8월 26일 단행했다. 또한, 업무상 질병으로 인한 산업재해 처리 기간을 단축하여 피해자들이 신속하게 보상받을 수 있도록 9월 1일부터 관련 절차를 개선했다. 더불어, 기록적인 폭염에 대응하기 위해 7월 17일부터는 폭염 시 2시간마다 20분 이상의 휴식 시간을 의무화하는 규정을 시행하며 현장의 온열 질환 발생 위험을 낮추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어 국가가 책임져야 할 사회적 아픔을 치유하는 것에도 주목했다. 과거 발생했던 사회적 참사의 유가족들을 초청하여 ‘기억과 위로, 치유의 대화’를 7월 16일에 진행하는 등, 정부는 유가족들의 아픔에 공감하고 실질적인 위로를 전하고자 노력했다. 또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들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2026년 예산안에 정부 출연금 100억 원을 편성하는 방안을 마련하며 피해 구제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날로 심각해지는 기후 변화로 인한 국민 안전 위협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기록적인 폭염과 가뭄에 대응하기 위해 8월 말 기준으로 885억 원의 특별교부세를 긴급 지원했으며, 7월 22일과 8월 6일에는 호우 피해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신속하게 선포하여 피해 복구 지원에 속도를 냈다. 8월 17일에는 피해 지원 종합대책을 마련하여 체계적인 복구 지원 방안을 제시했으며, 8월 30일에는 강릉시를 가뭄 재난사태로 선포하는 등, 기후 변화로 인한 재난 상황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정부가 추진한 이러한 정책들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 산업 현장의 안전 강화, 과거의 아픔에 대한 치유, 그리고 기후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정부는 국민들이 안심하고 살아갈 수 있는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한 걸음 더 다가설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노력들이 지속적으로 이행될 때, 우리 사회는 더욱 튼튼하고 회복력 있는 공동체로 발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