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을 준비하는 예비부부들이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부분 중 하나는 바로 ‘스드메'(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로 대표되는 결혼 준비 비용의 불투명성이다. 각 업체마다 천차만별인 가격과 복잡한 환불 기준은 소비자들에게 혼란을 야기하며, 합리적인 선택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해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소비자들이 ‘스드메’ 관련 서비스를 보다 투명하게 비교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개선이 추진된다.
최근 중요정보고시 개정안이 행정예고됨에 따라, 예식장과 결혼준비대행업 분야에서 서비스별 가격과 환불 기준을 의무적으로 공개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그동안 정보 비대칭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겪어왔던 불편함을 해소하고, 시장의 공정한 경쟁을 유도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구체적으로, 예식장과 결혼준비대행업체들은 제공하는 서비스의 종류별 상세 가격 정보와 함께, 계약 해제 시 적용되는 환불 기준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한다. 이는 마치 요가 및 필라테스 학원에서 유사한 서비스 가격 비교가 가능해진 것처럼, 결혼 준비 과정에서도 소비자들의 정보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개정안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 예비부부들은 각 업체의 ‘스드메’ 패키지 구성 및 가격을 보다 쉽게 비교 분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예상치 못한 상황 발생 시 적용되는 환불 정책까지 명확하게 확인함으로써, 계약 과정에서의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가격 및 환불 기준의 투명성 확보는 결혼 준비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제적 부담감을 완화하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 권익 보호 강화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된다. 향후 이번 제도 개선이 예식장 및 결혼준비대행업 시장 전반에 걸쳐 건전한 변화를 가져올지 주목되는 부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