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주, 즉 2025년 9월 15일부터 19일까지 조달청 용역 분야에서는 총 1,177억 원 상당의 입찰이 집행될 예정이다. 이는 정보화, 건설기술용역 등 다방면에 걸친 공공 사업이 본격화됨을 시사한다. 이러한 대규모 입찰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의 사업 추진력을 보여주는 동시에, 관련 업계의 활발한 참여를 이끌어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번 입찰에서는 전문성과 기술력이 요구되는 사업의 특성상 ‘협상에 의한 계약’ 방식이 전체 금액의 41.0%인 483억 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는 단순히 가격 경쟁을 넘어, 사업의 성공적인 완수를 위해 발주처와 낙찰자가 긴밀하게 협력하고 최적의 솔루션을 도출해야 하는 사업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검찰청의 ‘사건기록 고속 스캔·복사기 임차 사업(50억 원)’과 같은 사업은 효율적이고 신속한 기록 관리가 필수적인 만큼, 기술력과 제안의 질이 낙찰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다. 총 74건의 사업이 이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입찰자의 계약 이행 능력을 심사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평점을 받은 업체를 낙찰자로 선정하는 ‘적격심사에 의한 계약’ 방식도 전체 금액의 36.2%인 426억 원 규모로 집행된다. 이 방식은 안정적인 사업 수행 능력을 갖춘 기업에게 기회를 제공하며, 경기도 평택시의 ‘평택시 신청사 및 시의회 건립 건설사업관리 용역(106억 원)’과 같은 대규모 건설 프로젝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총 29건의 사업이 이 방식을 통해 추진된다.
건설엔지니어링 사업자의 과업 수행 능력과 기술 제안, 입찰 가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낙찰자를 선정하는 ‘종합심사에 의한 계약’ 방식은 전체 금액의 20.8%인 245억 원 규모로 진행된다. 이는 기술력과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갖춘 기업이 유리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복합적인 평가 기준을 통해 최적의 사업 파트너를 선정하려는 노력을 보여준다.
지역별 발주량 측면에서는 대전광역시 소재 본청이 전체 금액의 67.5%에 해당하는 795억 원을 차지하며 지역 사업 활성화에 중심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중앙 조달청의 대규모 사업이 대전에 집중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서울 등 10개 지방청에서도 382억 원 규모의 입찰이 집행되어 전국적인 사업 추진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이러한 입찰 동향은 공공 부문의 지속적인 투자와 함께, 기술력과 이행 능력을 기반으로 한 공정한 경쟁 환경 조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