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지역의 소매점 감소로 주민들이 식료품과 생필품 구매에 어려움을 겪는 ‘식품 사막화’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는 ‘찾아가는 이동장터’ 사업의 발대식을 전남 함평군 해보면 공동홈센터에서 개최하며 본격적인 사업 확대를 예고했다.
기존 농촌 마을에서는 점차 사라지는 소매점 때문에 주민들이 필수품 구매에 큰 불편을 겪고 있다. 자동차 기준으로 식료품 시설까지의 평균 접근 시간은 농촌 읍/면 지역이 10.1분에서 14.3분인데 비해 도시 지역은 3.9분에 불과하다. 특히 전남 함평군 해보면의 경우, 10개 법정리 중 7곳에 소매점이 없어 일부 마을 주민들은 생필품 구매를 위해 자동차로 20분 이상 이동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열악한 생활 환경은 농촌 주민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식품부는 ‘찾아가는 이동장터’를 솔루션으로 제시했다. 이 사업은 식료품을 비롯한 생필품을 농촌 취약마을에 직접 배달 및 판매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올해는 9개 시·군(1차 5개, 2차 4개)에서 시범적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1차 시범 지구에는 전남 함평·장성, 전북 완주, 충북 청주, 경북 의성이 선정되었으며, 2차 시범 지구로는 2025년에 전남 순천, 전북 임실, 충남 당진, 강원 양양이 포함될 계획이다. 함평군의 경우, 금덕리에 위치한 나비골농협 하나로마트를 거점으로 이동장터 차량이 배후마을에 생필품을 배달·판매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찾아가는 이동장터’는 지역 공동체와의 협업을 통해 다양한 모델로 운영될 예정이다. 지자체는 차량 운영에 필요한 예산을 지원하고, 지역 농협, 마을기업, 사회적기업 등 지역 공동체는 차량 및 인력 운영을 맡는다. 구체적인 모델로는 △배후마을을 정기적으로 순회하는 ‘정기순회형’ △취약계층에게 중심지까지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통연계형’ △소매점 등과 연계하여 사전 주문받은 식료품을 배달하는 ‘주문배달형’ △지역 공동체가 민간 스스로 자립할 수 있도록 운영체계를 구축하는 ‘민간참여형’ 등이 있다.
이번 ‘찾아가는 이동장터’ 사업이 성공적으로 정착될 경우, 농촌 주민들의 생필품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송미령 장관은 “찾아가는 이동장터를 순차적으로 확대하여 식품 사막화 문제를 해소하고, 농촌 주민들이 건강과 영양의 사각지대에 놓이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하며, “새 정부 핵심 과제로서 농촌에서 찾아가는 생활 서비스를 더욱 확대하여 진정한 의미의 복지 농촌을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농촌 주민들이 겪는 생활 불편을 해소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