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 자원의 건강성을 높이기 위한 솎아베기 작업이 실제로 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근본적인 우려가 존재해왔다. 잣나무 인공림을 대상으로 실시된 솎아베기 작업이 수질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는 지적은 이러한 우려를 반영한다.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리의 잣나무 인공림에서 50%의 나무를 솎아베기한 후, 5년간에 걸친 부유물질 분석 결과는 이러한 문제점을 명확히 보여준다.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연구진은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잣나무 인공림의 솎아베기 작업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했다. 특히 솎아벤 나무를 운반하는 과정에서 지표면 교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가선집재 방식을 적용했다. 가선집재는 집재기에 연결된 와이어로프를 산지에 설치하고, 와이어로프에 부착된 반송기를 이동시켜 나무를 집재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솎아베기 작업의 초기 2년 동안, 솎아베기를 실시한 유역에서는 솎아베기를 하지 않은 유역에 비해 부유물질량이 평균 4.3배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솎아베기 작업이 단기적으로는 수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그러나 긍정적인 변화는 3년 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했다. 3년이 지나자 솎아베기를 한 유역과 하지 않은 유역 간의 부유물질량 차이가 거의 없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솎아베기 작업이 장기적으로는 수질 회복에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발견이다.
5년간의 산림 수질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도출된 이 연구 결과는 솎아베기 작업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도 산림의 건강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 연구는 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산림과학 국제학술지 ‘Water'(2024) 16(24)권에 게재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생활권도시숲연구센터 박찬열 센터장은 “이번 연구는 솎아베기를 한 숲의 수질 회복 결과를 과학적으로 밝혀낸 것”이라며, “앞으로도 검증된 연구 결과를 현장에 적용하여 건강한 산림을 조성하고 지속가능한 산림 경영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솎아베기 작업이 단기적인 수질 변화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는 산림의 수질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