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부과한 관세로 인해 국내 산업 생태계가 직면한 위협은 점차 심화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부품, 철강 등 수출 주력 업종의 중소·중견기업들이 직접적인 타격을 입으면서 경영상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산업 생태계를 강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추진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러한 ‘미국 관세 피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생연대 수출금융’을 확대 지원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9월 12일 HL 그룹, 하나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가 체결한 ‘수출금융 지원 협약’으로 구체화되었다. 이 협약은 앞서 현대자동차그룹, 하나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가 맺었던 업무협약에 이은 두 번째 민관 협력 사례로, 미국 관세 조치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중소·중견기업을 지원하기 위한 공동출연의 모범 사례를 제시한다.
이번 협약에 따라 HL 그룹과 하나은행은 총 80억원을 공동으로 출연한다. 한국무역보험공사는 이 기금을 기반으로 1,000억원 규모의 우대 보증을 협력사에 제공할 예정이다. HL 그룹은 자동차 부품(HL만도, HL클레무브 등), 건설(HL디앤아이한라 등), 산업용 로봇(HL로보틱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를 아우르는 기업집단이다. 이번에 조성된 기금은 특히 미국 관세 피해가 큰 자동차 부품 업종을 우선적으로 지원하며, 세부적인 우대 사항은 추후 실무 협의를 통해 구체화될 예정이다.
이러한 ‘상생연대 수출금융’이 성공적으로 확산될 경우, 미국 관세 부과로 인해 위협받고 있던 국내 산업 생태계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정성 무역투자실장은 “민관이 힘을 합쳐 산업 생태계를 더욱 굳건히 함으로써 현재의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하며, “정부 역시 수출과 투자 환경이 안정될 수 있도록 지난 9월 3일 발표한 ‘미국 관세 대응 후속 지원 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결국 개별 기업의 생존을 넘어, 대한민국 수출 경쟁력과 산업 전반의 회복력을 강화하는 중요한 발판이 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