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이 겪고 있는 여러 가지 어려움들이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논의 테이블에 올랐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김정관)는 지난 9월 12일과 15일, 베트남 재무부 및 산업무역부와 각각 화상 회의를 개최하며 현지 투자 기업들의 고충 해결 방안을 다각적으로 협의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8월 한-베트남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성과를 이행하고 후속 조치를 논의하는 자리였으나, 그 이면에는 베트남 현지에서 한국 기업들이 직면한 구체적인 문제점들이 자리하고 있었다.
먼저, 9월 12일에 열린 ‘제1차 한(산업통상자원부)-베(재무부) 국장급 회의’에서는 여러 기업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애로사항들이 집중적으로 논의되었다. 김종철 통상협력국장과 도 반 수(Do Van Su) 베트남 재무부 외국인 투자청 국장이 수석대표로 참여한 이 회의에서 한국 측은 베트남 진출 섬유 기업들이 겪는 미환급 부가가치세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촉구했다. 또한, HD 한국조선해양이 두산비나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현지 특별 인센티브가 제대로 승계되지 못하는 문제와 글로벌 최저 한세 시행과 관련하여 발생하는 지체 없는 지원의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이 외에도 베트남 재무부는 공급망 분야, 에너지 및 인프라 개발 협력, 양 부처 산하 공기업 간 협력 방안 등을 제안하며 향후 협력의 폭을 넓히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베트남 재무부는 부가가치세 환급과 인센티브 승계 문제는 지방 정부 소관이지만 재무부 차원에서 직접 협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전력 공급 및 인프라 확충 등 우리 기업들의 애로사항에 대해서도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어서 9월 15일에는 ‘제4차 코리아 베트남 플러스 공동작업반’ 회의가 개최되었다. 김종철 통상협력국장과 도 꿕 흥(Do Quoc Hung) 베트남 산업무역부 외국시장개발국 부국장이 수석대표로 참여한 이 회의는 ‘2030년 한-베 교역 규모 1,500억 달러 달성’이라는 공동 목표를 위한 협의 채널로서, 기존의 교역 및 투자 확대 논의를 넘어 우리 기업들의 애로사항 해결까지 포함하는 국장급 핫라인 협력 플랫폼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2030년 1,500억 달러 목표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방안과 원전 인력 양성 MOU 이행 계획 등 정상회담 후속 조치들이 점검되었다. 특히 한국 측은 베트남 현지 재생에너지 투자 기업들의 전력 판매 관련 애로사항 해소와 LNG 발전 사업 참여를 위한 제도 보완을 요청했으며, 베트남 측은 관련 부처 및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해결 방안을 적극 모색하고 그 결과를 신속히 공유하겠다고 답변했다.
이러한 정부 간의 다층적인 협의 채널 가동은 베트남 현지에서 한국 투자 기업들이 예측 가능하고 안정적인 경영 활동을 영위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의지를 보여준다. 이번 회의를 통해 제기된 기업들의 애로사항들이 실질적인 해결로 이어지고, 양국 간 경제 협력이 더욱 공고해질 수 있을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