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민생 회복을 위한 소비 활동이 일부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비수도권 지역 경제의 더딘 회복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이러한 지역 경제 침체라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지방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정부가 ‘지방살리기 상생 자매결연’이라는 범부처 협업 사업을 추진한다. 이는 지난 7월 29일 제33회 국무회의와 8월 7일 경제 관계장관회의에서 논의된 ‘지방살리기 상생 소비 활성화 방안’의 구체적인 실행 계획 중 하나이다.
이번 사업은 인구감소 지역, 재난 피해 지역 등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국 141개 시군구와 중앙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간의 ‘상생 자매결연’을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122개 시군구가 주요 대상이며, 이 중에서도 비수도권 광역시 내 인구감소 지역 12곳과 수도권 내 인구감소 지역 7곳도 포함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이미 전남 곡성군, 전남 해남군, 강원 고성군, 경북 영덕군 4개 지자체와 자매결연을 맺고 지역 특산품 구매와 방문 독려를 통해 적극적인 지방 살리기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이 자매결연은 각 시군구당 2개 이상의 기관이 연결되는 것을 목표로 추진된다.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와의 자매결연을 총괄 관리하며, 기획재정부는 공공기관과의 연결을, 산업통상자원부는 민간기업과의 교류를 각각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중앙부처는 선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대상 시군구와의 매칭을 신속하게 완료하였고, 50개 중앙부처와 141개 시군구 간의 연결이 모두 이루어졌다. 기획재정부는 331개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수요 조사를 진행한 결과, 약 50개 기관이 신규 자매결연 체결 의사를 밝혔으며, 60여 개 기관은 기존 자매결연 지역과의 교류를 확대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경제 단체를 통해 민간기업의 자발적인 참여를 독려하고 있으며, 약 20개 기업이 지역 전통시장 구매, 지역 축제 후원, 명절 선물 구입 등 다양한 방식으로 동참 의사를 표명했다.
이번 자매결연은 일회성 이벤트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상생 관계로 발전할 수 있도록 범부처 협업 하에 우수 사례 홍보와 애로사항 관리 등 다각적인 노력이 기울여질 예정이다. 또한,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자매결연 희망 시 적극 지원하는 등 사업의 범위를 더욱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실제로 일부 부처는 더 많은 지자체와의 결연을 희망하고, 지자체에서는 특정 부처와의 결연을 역제안하는 등 긍정적인 반응이 이어지고 있어, 앞으로 활발한 교류와 실질적인 성과가 기대된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번 자매결연이 민간기업과 지역 간의 상생 교류를 활성화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며, 기업과 지역의 상생 교류 확대가 지방 소비 촉진으로 이어져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