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립묘지에서 발생한 유골함 물고임 문제는 국가유공자분들과 유가족분들에게 깊은 심려를 끼치는 사안이었다. 국가보훈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각적인 대책을 발표하며 묘역 관리와 안장자 예우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번 물고임 문제는 국가보훈부가 관리하는 현충원, 호국원, 민주묘지, 신암선열공원 등 12곳의 국립묘지 중 도자기형 유골함을 사용하는 일부 봉안묘에서 발생했다. 원인 분석과 대책 마련을 위해 조경, 토목, 장례 등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을 꾸린 결과, 전문가들은 봉안묘의 도자기형 유골함이 배수시설이 잘 갖춰져 있더라도 호우나 결로 현상으로 인해 물이 고일 수 있으며, 이는 민간 봉안묘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임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향후 친환경 유골함 사용과 같은 안장 방식의 근본적인 개선과 묘역 내 빠른 배수를 위한 배수시설의 지속적인 개선이 필요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이러한 전문가 의견과 자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국가보훈부는 구체적인 대책을 수립하고 추진한다. 첫째, 유족이 희망할 경우 동의를 얻어 재안장을 추진하며, 물고임 방지를 위해 친환경 유골함으로의 재안장을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권장할 계획이다. 또한, 향후 국립묘지 조성 시 자연장지를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원활한 재안장 진행을 위한 절차 매뉴얼을 마련하여 각 국립묘지에 배포할 예정이다. 둘째, 4.19 민주묘지와 5.18 민주묘지에서 안장 시 사용되어 온 석관이 배수에 지장을 주고 물고임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즉시 사용을 중지한다. 셋째, 묘역 내 지하수위 측정과 원활한 배수를 위해 집수정 설치를 확대한다. 국립대전현충원에서 이미 설치된 집수정을 올해 임실호국원을 시작으로 나머지 국립묘지에도 설치해 나갈 계획이다. 넷째, 묘역 주변 지하에 천공 파이프 형태의 맹암거를 설치하여 배수시설을 개선한다. 현재 대전현충원에서 맹암거 설치 공사를 진행 중이며, 5.18 민주묘지에도 추경 예산을 확보하여 설치를 완료할 예정이다. 다섯째, 취약 구역 파악을 위해 현재 봉안묘가 있는 8개 국립묘지에 물고임 측정용 유골함을 설치하고 분기별 자체 점검 및 분석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묘역 배수 상태와 개선 상황에 대해 전문가와 합동 조사를 병행하여 관리 체계를 더욱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국가보훈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묘역 관리 및 안장자 예우에 최선을 다하며 국가유공자와 유족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을 강조했다. 특히, 현재 사용 중인 도자기형 유골함의 물고임 가능성을 설명하고, 한지로 제작되어 생분해되는 친환경 유골함의 사용을 적극 안내하여 물고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