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이 시작된 지 한 달 만에 관련 예산의 35%가 소진되는 등 뜨거운 반응을 얻고 있다. 이는 당초 예상했던 내수 회복과 에너지 절약, 그리고 가전산업 경쟁력 강화라는 1석 3조의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이 사업은 고효율 에너지 소비 제품 구매를 장려하여 가계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관련 업계의 매출 증진에도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은 총 267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TV, 냉장고, 에어컨, 세탁기 등 11가지 품목의 에너지소비효율 최고등급 제품 구매 시 구매가의 10%를 환급해 주는 방식이다. 1인당 최대 30만 원까지 환급이 가능하며, 지난달 13일부터 신청 접수가 시작되어 올해 제2차 추가경정예산 통과일 이후 구매한 품목에 대해 적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882억 원, 66만 2000건이 접수되었으며, 이 중 407억 원, 30만 4000건에 대한 환급이 순차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러한 신속한 진행을 위해 심사 인력이 대폭 확충되어 2주 내 환급이 가능하도록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간담회에 참여한 가전·유통·렌탈 업체들은 으뜸효율 환급사업 시행 이후 뚜렷한 매출 증가세를 보고했다. 가전 A사의 경우, 환급 대상 제품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29% 증가했으며, 김치냉장고 협력업체인 B사는 23%, 공기청정기 협력업체 C사는 무려 584%의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이처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 협력 성과 또한 주목할 만하다. 특히 이번 사업에 처음 참여한 렌탈업체 D사는 전년 대비 매출 92%, 판매량 137%라는 경이로운 증가율을 보였으며, 제습기는 16배의 판매 증가라는 놀라운 성과를 달성하기도 했다.
업계는 이러한 긍정적인 성과를 바탕으로 사업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고령층 등 정보 취약계층의 환급 신청을 돕기 위해 오프라인 매장에는 으뜸효율 전용 데스크를 마련하고, 해당 매장에서 구매하지 않은 제품에 대해서도 대리 신청을 지원하는 등 적극적인 지원책을 펼치고 있다. 정부 또한 이러한 업계의 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배우 류수영을 홍보모델로 발탁한 홍보영상을 제작하여 각종 매체에 송출할 계획이며, 현장 방문, 기획기사, SNS 챌린지, 온라인 쇼핑몰 기획전 등 다양한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한 홍보를 강화할 예정이다. 특히, 지역별 편차를 개선하기 위해 우체국과 농협의 지방 지점 디지털 사이니지를 활용하고, 지역 케이블 TV를 통해 사업 홍보영상을 송출하는 등 지역 맞춤형 홍보를 확대하고 있다. 향후에는 카카오톡 챗봇 활용, 휴대폰 원격 지원 등을 통해 신청 및 보완 절차를 지원하고, 신청 과정 간소화를 위해 OCR 기능이 탑재된 전용 앱도 배포할 예정이다.
조익노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정책관은 “사업 시작 이후 내수 회복, 에너지 절약, 가전산업 경쟁력 강화라는 당초 기대했던 긍정적인 효과들이 가시화되고 있다”고 평가하며, “다가오는 가을철 소비 시즌과 결혼 시즌 등 호재를 활용하여 가전 분야의 소비 확대가 지속될 수 있도록 업계와 긴밀히 협력하여 홍보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은 예산 소진 시까지 신청 순으로 환급이 진행되며, 관련 상세 정보는 http://www.으뜸효율.kr 또는 으뜸효율 고객센터(1566-4984)에서 확인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