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발생한 7월 집중호우 피해와 오송 지하차도 참사 등 연이어 발생하는 대규모 재난은 그 원인 규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구조적인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 과거에도 유사한 재난이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사건 발생 이후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적인 원인 분석 및 책임 소재 규명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반복적인 피해가 발생하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이러한 상황은 국민 안전을 담보해야 하는 국가 시스템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재난 예방 및 대응 역량 강화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행정안전부는 제2기 ‘국가재난원인조사협의회’를 새롭게 발족하고 전체회의를 개최하며 본격적인 재난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 이는 지난 9월 16일(화) 이루어졌으며, 협의회는 앞으로 오송 지하차도 참사를 포함한 각종 재난의 원인을 심층적으로 조사하고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협의회는 독립적인 조사를 통해 재난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을 밝혀내고, 이를 바탕으로 정책적, 제도적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재난원인조사협의회의 활동을 통해 명확한 원인 규명과 책임 소재 파악이 이루어진다면, 향후 유사한 재난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이번 조사를 통해 드러난 문제점들이 제도적으로 보완된다면 재난 관리 시스템 전반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계기가 될 것이다. 결국, 이 협의회의 활동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국가의 책임을 다하는 중요한 발걸음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