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 곳곳에 흩어진 비지정 무형유산들이 국가유산청의 본격적인 육성 사업을 통해 미래의 소중한 문화자원으로 발돋움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국가유산청은 ‘2026년 미래 무형유산 발굴·육성 사업’의 지원 대상으로 제주 지역의 혼례 음식 문화와 고창 지역의 ‘용당기 놀이’를 포함한 총 15개 사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아직 국가 또는 시도무형유산으로 지정되지 않았지만, 미래의 잠재력을 지닌 지역의 무형유산을 발굴하여 체계적으로 육성하고, 나아가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자원으로 발전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번 사업 선정으로 제주 지역에서는 ‘제주 가문잔치와 음식문화’가 조사·연구 지원을 받게 된다. 이는 제주 고유의 혼례 문화와 그 속에 담긴 음식 문화를 심층적으로 파고들어 그 가치를 재조명하려는 시도다. 또한, 전북 고창에서는 주민들에 의해 오랜 세월 이어져 온 ‘고창 무장읍성 칠거리 당산 용당기 놀이’가 발굴·육성 대상에 포함되었다. 이 놀이는 단순한 민속놀이를 넘어 지역 공동체의 역사와 정신을 담고 있는 중요한 무형유산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외에도 전북 남원의 ‘남원 사직단제’, 부산 강서구의 ‘가락오광대’, 경남 진주의 ‘진주화반’ 등 전국 각지의 다채로운 무형유산들이 이번 사업을 통해 체계적인 보존 및 전승 기반을 마련하게 되었다.
선정된 사업들은 조사·연구, 전승 환경 조성, 체계화 등 자율적인 전승체계 구축을 지원받게 된다. 이를 위해 연간 최대 2억 원(국비 1억, 지방비 1억)의 예산이 차등 지원되며, 사업 성과에 따라 최대 3년까지 지속적인 지원이 가능하다. 전국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이번 사업 공모에는 총 12개 시·도에서 63개의 사업계획서가 접수되었으며, 무형유산으로서의 가치와 사업 타당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최종 15개 사업이 선정되었다.
선정된 지자체들은 2026년 상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각 종목의 현황 조사·연구를 심화하는 한편, 학술대회, 전문가 공개 토론회(포럼), 지역 축제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무형유산 보전 및 활성화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를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러한 노력은 잠재력 있는 지역 무형유산들이 단순히 과거의 유물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현대 사회에서도 그 가치를 인정받고 국민들이 향유할 수 있는 풍성한 문화콘텐츠로 발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발굴과 육성 정책을 통해 우리 문화유산의 다양성을 지키고 국민들에게 더욱 풍요로운 문화 향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