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집에서 편하게 OTT로 영화를 즐기는 문화가 확산되면서 극장가를 찾는 발길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비싼 영화 관람료와 OTT 서비스의 편리함 사이에서 관객들은 점차 극장에서의 경험을 덜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영화 산업의 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시급한 상황이다.
문화체육관광부와 영화진흥위원회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영화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영화 관람료 6천 원 할인권을 추가로 배포하는 정책을 시행한다. 이는 지난 7월 25일부터 진행된 450만 장 할인권 배포에 이어, 사용되지 않은 잔여 할인권 188만 장을 9월 8일부터 추가로 배포하는 것이다. 이번 추가 배포는 선착순으로 진행되며, 1차 배포 시 할인권을 사용했던 사람들도 별도의 과정 없이 쿠폰함에 자동으로 담기는 1인 2매의 할인권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신규 회원의 경우 별도의 회원 가입 절차가 필요하다.
이 할인권은 대형 멀티플렉스뿐만 아니라 독립·예술영화전용관, 작은영화관, 실버영화관 등 다양한 형태의 영화관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관객들의 선택 폭을 넓히고 있다. 또한, 누리집이나 애플리케이션 이용이 어려운 어르신들을 위해 예매 방법을 안내하는 종합 안내 창구(☎070-4027-0279)도 운영하여 정책의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할인권 배포는 실제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다. 문체부에 따르면 1차 할인권 배포 기간 동안 영화관을 찾은 관객 수는 올해 7월 24일까지의 일평균 관객 수 대비 1.8배 증가했다. 또한, 할인권 배포 후 3주간의 분석 결과, 10명 중 3명이 최근 1년간 극장을 찾지 않았던 신규 또는 기존 고객인 것으로 나타나, 할인권이 잠시 멀어졌던 관객들을 다시 극장으로 불러들이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오랜만에 극장 나들이에 나선 한 가족은 미성년 자녀의 영화 관람료 할인권도 추가로 받을 수 있다는 소식에 기뻐하며, 이번 기회를 통해 영화 관람의 즐거움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보였다. 이처럼 6천 원 할인권은 단순히 관람료 부담을 줄여주는 것을 넘어, 극장 경험의 가치를 재인식시키고 영화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는 중요한 정책 수단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