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연이어 발생하는 국지성 극한호우와 대형 산불과 같은 재난 상황은 개인에게 특화된 맞춤형 재난·안전 정보 제공의 중요성을 더욱 부각하고 있다. 기존에는 국민재난안전포털, 안전신문고 등 여러 창구를 통해 재난·안전 정보가 제공되었으나, 각기 다른 시스템으로 인해 정보 접근 및 활용에 있어 불편함이 존재해 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행정안전부는 인공지능(AI) 기반의 대국민 재난·안전 정보 제공 창구를 통합하고, 국민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개인별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민안전24’를 올해 개통할 예정이다.
‘국민안전24’는 기존에 분산되어 있던 5종의 국민 대상 재난·안전정보 제공 창구를 하나의 누리집과 모바일 앱으로 통합한 서비스다. 이 시스템의 핵심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과거 피해 이력, 기상특보, 대피소 위치 등 주변의 위험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한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 기상특보 발령 시에는 이에 따른 구체적인 행동 요령까지 안내함으로써 사용자의 상황별 대처 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행정안전부는 이러한 AI 기반의 재난·안전 서비스 추진을 통해 국민의 안전한 일상을 지키기 위한 ‘AI 기반 국민 안전 강화 방안’을 17일에 발표한 바 있다.
또한, ‘국민안전24’ 서비스는 대화형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챗봇(Chat bot)’ 서비스도 함께 개발하여 문자, 음성, 영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국민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특히 안전신문고의 경우, 문자와 이미지 등 여러 종류의 데이터를 결합한 ‘멀티모달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험 상황 사진만 업로드해도 자동으로 신고 문구가 생성되는 기능이 도입될 예정이다. 김용균 행정안전부 안전예방정책실장은 AI 기반 재난·안전 서비스 추진을 통해 “국민 개개인의 상황에 맞춰 필요한 재난·안전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러한 AI 기반의 맞춤형 정보 제공 시스템은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지원하며, 궁극적으로 국민 안전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